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전복 먹이생물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육성

추천0 조회수 1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전복 먹이생물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육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7-0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전복 먹이생물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육성 2013-07-03 대변인실 전복 먹이생물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육성【해양수산과학원】550-0668 -전복연구센터‚ 부착성 규조류 원종 분양해 어린 전복 폐사율 낮춰-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전복 종묘 생산 후 어린 전복 성장 시기에 천연 먹이생물 부족으로 건강도가 낮아짐에 따라 초기 먹이생물인 부착성 규조류 원종을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3일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전복 양식 어업인들은 어린 전복의 먹이를 막대한 양의 해수를 장시간에 걸쳐 흘려줌으로써 자연 발생되는 부착규조에 전적으로 의지하는데다 이마저도 녹조류와 대형규조류 등 어린 전복들이 선호하지 않는 먹이생물이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복연구센터에선 국내 최초로 성장 단계별로 어린 전복이 선호하는 부착규조 원종을 어가 희망 시기에 대량 생산해 공급함으로써 규조 부착기간 단축 및 양질의 먹이 우점화를 유도‚ 어업인 소득 증대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4~5월 중 희망어업인 42어가에 전복 천연먹이생물인 니치아(Nitzschia sp.) 2만9천75리터를 유상 분양한 데 이어 이달부터 8월까지 2차 유상분양을 위한 나비큘라(Navicula sp.) 및 니치아 대량 배양시스템을 시험 가동한다. 앞으로 천연먹이생물 산업화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져 건강한 어린 전복 생산시스템이 본궤도에 오르면 폐사율 저감 및 생산원가 절감 등을 통한 수천억대의 경제적 유발효과를 가져와 전복시장 1조 원대 시대를 맞이할 전망이다. 조영철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전복연구센터장은 “앞으로 세계 일류상품 개발을 위해 전복 천연먹이생물 종보존센터를 구축해 부착규조 고밀도 대량 배양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며 “수출 가공용 대형 전복 개발을 위한 전복 종자은행도 구축하는 등 세계적인 대한민국 전복 연구센터로 거듭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F1대회 성공 기원 누리망 레이싱게임 열린다 2013-07-03 다음글 전남도‚ 지역브랜드 가치 제고 사업 본격 추진 2013-07-03 리스트 전체게시물(25844) / 전체페이지(2585)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 정보제공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파일 조회 18094 부산울산 어린이집 원장들‚ 친환경농업 체험 대변인실 2013-07-04 611 18093 편백 피톤치드 등 천연물소재 연개 개발 탄력 대변인실 2013-07-04 688 18092 2013 F1대회 팀장급 의료 진행요원 9명 위촉 대변인실 2013-07-04 570 18091 장마태풍 대비‘농업재해대책상황실’운영 대변인실 2013-07-04 600 18090 전남복지재단 설립…복지 수준 한 단계 높인다 대변인실 2013-07-04 797 18089 F1 독일대회 5일 개막…순위경쟁 치열 대변인실 2013-07-04 511 18088 긴급복지 기준 완화 등 복지혜택 확대된다 대변인실 2013-07-03 690 18087 F1대회 성공 기원 누리망 레이싱게임 열린다 대변인실 2013-07-03 650 18086 전복 먹이생물 대량 배양해 전복산업 육성 대변인실 2013-07-03 944 18085 전남도‚ 지역브랜드 가치 제고 사업 본격 추진 대변인실 2013-07-03 749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