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 기준 현실화를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 기준 현실화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2-08-04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 기준 현실화를 2012-08-04 대변인실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 기준 현실화를【친환경농업과】286-6330 -전남도‚ 유기농 기간 매년 연장?면적 10ha까지 확대 등 중앙정부에 건의- 전라남도가 현행 ‘친환경농업 직접지불 제도’의 지원 기준이 농업 규모화정책에 미치지 못한 점을 감안‚ 지급 기간과 지급 면적을 확대해줄 것을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4일 전남도에 따르면 친환경농업 직접지불 제도는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농업인들의 초기 소득 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를 보전해 친환경농업 확산을 도모하고 농업의 환경 보전기능 등 공익적 기능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현행 지원 기준은 같은 필지에 친환경농산물을 계속해 생산하는 경우 최초 지급 연도로부터 필지별로 무농약은 3년(3회)‚ 유기인증은 5년(5회)으로 지원 기간을 한정하고 농가당 지급 면적도 최고 5ha까지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농업은 환경보전 등 공익적 기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인증 면적을 늘려야 하나 현재의 지원 조건 등은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게 전남도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무농약?유기농 인증단계로 상향 정착하기 위해서는 최소 5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현행 직불금 지원 기간을 무농약은 3년에서 5년으로‚ 유기농은 매년 지속적으로 지급 기간을 연장해줄 것을 건의했다. 또한 농가당 지급 대상 면적을 현행 최소 0.1ha에서 최고 5.0ha로 제한하는 것은 한미?한중 FTA 등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 규모화 영농을 추진하는 농촌 현실에 맞지 않은 점을 감안‚ 농가 소득증대 차원에서 농가당 지급 대상 면적을 10ha 이상으로 확대해줄 것을 요구했다. 올해 전남도의 친환경농업 직불금 지원 대상은 3만1천여 농가‚ 3만2천여 ha로 직불금 총액은 국비 191억원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및 민간인증기관에서 10월까지 지급 대상 농가에 대해 친환경농업 이행 실태를 점검‚ 적합판정을 받은 농가를 대상으로 연말에 지급할 계획이다.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의 실질적 소득 보전을 위해 직불금 지급 기간 연장 및 농가 지원규모 확대 방안을 중앙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직불금 지원이 확대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취약계층 자녀 학습진로 캠프 운영한다 2012-08-05 다음글 소규모어항 해수소통구 설치로 해양환경 개선 2012-08-04 리스트 전체게시물(25858) / 전체페이지(2586)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 정보제공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파일 조회 15878 취약계층 자녀 학습진로 캠프 운영한다 대변인실 2012-08-05 650 15877 친환경농업직불금 지급 기준 현실화를 대변인실 2012-08-04 721 15876 소규모어항 해수소통구 설치로 해양환경 개선 대변인실 2012-08-04 721 15875 ‘나라 꽃 무궁화 활짝 피었네’ 대변인실 2012-08-04 633 15874 나주시농협공동사업법인‚ 광역유통 우수 대변인실 2012-08-04 626 15873 온 가족‘허수아비 만들기’참가하세요 대변인실 2012-08-04 574 15872 중국 산둥성장 일행 전남도 방문 대변인실 2012-08-03 554 15871 박지사‚ 적조발생해역 방문 대변인실 2012-08-03 558 15870 「봉숭아물들이기 체험행사」개최 대변인실 2012-08-03 633 15869 아이쿱 생협‚ 우리 밀 소비 촉진「우리 밀 라면」홍보 대변인실 2012-08-03 601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 1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