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상수리나무(꿀밤나무)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상수리나무(꿀밤나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상수리나무(꿀밤나무) 대분류 : 참나무과 소분류 : 목본 상세설명 각 지역의 마을 부근이나 산록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5m‚ 지름1m에 달한다. 꿀밤나무‚ 참나무라고도 한다. 잎은 호생하고 장타원형상 피침형‚ 예첨두이며 기부는 둥글고 가장자리에 침상거치가 있다. 잎길이 8∼15㎝이며 측맥은 평행으로 달리며 거치의 끝까지 이어진다. 자웅동주로서 꽃이 4∼5월에 피고 열매는 다음해의 10월에 익는다. 웅화서는 어린 가지의 밑부분에서 길게 드리워진다. 열매는 견과로서 길게 뒤로 젖혀진 포린으로 싸여져 있다. 잎이 밤나무와 비슷하지만 거치끝에 엽록체가 없어 희게 보이며 잎뒷면에는 소선점이 없어 구별된다. 산록양지의 비옥한 적윤지로서 해발 800m이하의 지역에 잘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해발 600m이하의 지역에만 분포한다. 목재의 용도가 넓어 과거 조림을 하기도 하였다. 목재는 선박재‚ 농기구재‚ 펄프재‚ 땔감‚ 제탄용‚ 표고버섯재배의 원목 등으로 쓰이며 열매는 약용 및 식용으로 한다. 잎은 과거에 천잠 및 작잠을 기르는 데 사용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