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소나무재선충 대책은 없는가? (KBS 집중강원)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나무재선충 대책은 없는가? (KBS 집중강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소나무재선충 대책은 없는가? (KBS 집중강원) 담당부서 정책홍보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11-30 조회수 10550 방송일 방송매체 홍보 카테고리 홍보   연락처 042-481-8882  키워드   내용보기 제  목 : 소나무재선충 대책은 없는가? 내  용 : 집중진단 강원 "소나무재선충 대책은 없는가? 지난 10월 19일 강릉시 성산면에서 소나무 재선충이 발견된데 이어서 동해에서도 소나무 재선충이 발견 소나무재선충의 백두대간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은 감염목을 100퍼센트 고사시키는 소나무 에이즈. 199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견돼 지금까지 남쪽 지역에 피해를 끼쳐 왔지만 최근 전국적으로 그 피해가 확산되면서 피해 면적만 5‚000ha가 넘고 있다. 이에 정부는 11월 1일부터 소나무 이동 금지령을 내렸고‚ 예찰과 항공방제등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을 막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소나무이동금지령에 대한 실표성과 항공방제에 또다른 피해를 우려하는 의견이 제기되는 등 정부의 대처능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백두대간을 위협하는 소나무 재선충을 잡기 위한 방법은 없는 것일까? 소나무재선충의 대책에 대해서 집중 토론해 본다. 앵커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집중진단 강원에 윤석황입니다. 소나무가 한반도에 등장한지 1억년이  습니다. 변치 않는 기개 때문에 우리 한민족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고 소나무숲은 우리의 자랑이자 큰 자산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소나무가 재선충병의 역풍을 맞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방역대책과 예방대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토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조현원 산림청장께서 이 자리에 나와계신데요. 많이 바쁘신거 알고 있고요. 그리고 또 오늘 하실 말씀이 참 많으실 것 같습니다. 청장: 먼저 산림청에서 해야 될 가장 기본적인 일이 우리 산과 나무와 숲을 잘 지키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근데 요즘 소나무 재선충병 때문에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소나무가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그러한 불안까지 끼쳐드린 점 상당히 죄송스럽습니다. 현재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서 방제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참으시고 같이 참여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앵커: 네‚ 잠시후에 말씀해 주시겠습니다. 오늘 방제 대책에 대해서 자세히 토론 할 예정인데 우선 모두의 공감대를 위해서 재선충병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재선충병이란 무엇인지 이교수니께서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교수 : 에이즈라고 불리는데 얼마나 무서우면 에이즈라고 부르겠습니까? 찾아봐도 소나무 에이즈는 없어요. 우리가 붙인건데‚ 어쨌든 무서운 점은 소나무 재선충병이 침입을 하면 1개월 내에 100퍼센트 죽는다 이것도 50퍼센트‚ 100퍼센트 죽는 다가 아니라 1개월에 100퍼센트 죽는데‚ 길게 1년을 봅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아까 백두대간 얘기도 나오지만 정말 남의 일이 아닙니다. 대란이 일어났으니까 우리 모든 국민의 힘을 합쳐서... 앵커 : 대란이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우리가 깊게 느껴야 할 것 같습니다. 정교수님 다른나라의 상황은 좀 어떻습니까? 우리 이웃나라라고 볼 수 있는. 교수2 : 일본의 경우에는 1972년도에 소나무 재선충이 판명이  습니다. 그 후로 초기발견을‚ 초기방제에 소흘히 했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다 아시는 바와 같이 소나무에 포기상태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1982년도에 재선충이 발견된 이래로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 역시‚ 대만도 1985년도에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되서 소나무가 유구송이라고 하는데 거의 전멸상태에 있습니다. 그러한 상태에 이르르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나라 가운데 우리나라가 아직은 최고로 좋은 상황입니다. 그렇죠 여러분도 아시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소나무의 나라라고 얘기 할수도 있죠. 소나무는 우리 한민족의 역사와 같이 함께 살아오고 있는 실정이죠. 그런데 소나무 재선충 때문에... 앵커: 시기적으로 방제가 매우 중요하겠습니다. 교수2 : 그렇죠. 아직은 초기에 방제를... 앵커 : 확산의 단계에 있는데요. 확산되는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교수2 : 두가지로 볼수 있겠습니다. 첫째는 재선충을 감염시키는 매개 곤충인 솔샘하늘소의 비산에 의해서 감염되는 경우고요. 또 하나는 감염된 임목을 반출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산이 되는 두가지 경우를 들수 있습니다. 그런데 후자가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그런경우게 훨씬 비중이 높죠. 앵커: 네 잠시후에 더 좋은 말씀 해주시고요. 유영민 사업국장님께서는 어떻게 파악하고 계십니까? 사업국장: 예‚ 생명의 숲에서 산림의뢰를 받아서 2005년도에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모니터링을 실시를 했습니다. 근데 모니터링 결과 저희들이 추론을 몇가지를 하고 있는데‚ 우선은 1988년 부산 검정산에서 발견되었을 때‚ 초기방제를 못한 점에 일단 1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고요. 그 이후에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에 대해서 심각성을 알면서도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한 점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2004년 이후에야 비로소 정부의 전면적인 방제활동이 이루어 졌다고 생각이 되고요. 두 번째는 앞에 교수님께서도 말씀 하셨지만‚ 자연적인 확산보다는 인위적인 확산의 원인이 더 큰데요. 그중에서도 현재 밝혀지기로는 택지나 공장부지‚ 건설지역에서 발생한 소나무의 무단 반출의 이동 여기에도 원인이 있지만‚ 혹자는 아니라고 합니다. 차량에 의한 이동 이 부분에 대해서도 지금 간과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지금 발견되는 대부분의 지역이 간선도로 부근이라는 점에서 의심을 해야하 고요. 앵커: 진단에 관해서 산림청장님께서 답변 겸 그리고 현재 정부의 방제대책에 관해서 좀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청장님 말씀 들으시고 문제점에 대해서 보태는 말씀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청장: 방제대책을 말씀드리기 전에 우선 아까 설명한대로 재선충병이 이제 남쪽으로는 제주도까지 북쪽으로는 강릉과 동해까지 번져서 이렇게 보면 정부어디고 현재 재선충 침입이 안된 지역이 있을까'' 하고 할정도로 아주 전국적으로 영하다 하고 생각이 됩니다. 여러 가지 피해원인이 있겠지만‚ 재선충 자체는 스스로 움직이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재선충이 아닌 매개충이 옮기거나 매개충이 아닌 사람에 의해서 옮기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매개충은 지금까지 연구한 바에 의하면 아무리 멀리가야 5km이상 못간다고 되있거든요. 그런데 포항에서 안동까지 직선거리가 100km고‚ 안동에서 강릉까지 직선거리가 110km인데 5km뿐이 못가는 매개충에 의한 확산은 아닌것 같고‚ 사람에 의한 확산이 아니겠냐'' 라고 보는거죠. 정부에서 방제대책을 하는것은 두가지입니다. 아직까지는 재선충을 죽이는 약재가 개발이 안 습니다. 그래서 암과같이 피해를 빨리 발견해서 피해받은 나무를 벌채해서 태우던지‚ 아주 잘게 톱밥으로 썰던지‚ 아니면 약을 넣어서 훈종으로 처리하던지‚ 이러한 방법을 쓰는 것입니다. 그리고 매개충인 솔수하늘소를 방제하기 우해서 항공방제도 해왔죠. 이런것들은 재선충과 매개충인 솔수하늘소를 구제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아까 말씀했듯이 110키로 100키로까지 전파가 되니까 이것은 사람에 의한 확산이 아니겠냐. 이래서 이동통제도 같이 실시하고 있는것입니다. 조금전에 교수님께서 에이즈라는 말씀도 하셨는데‚ ''한번 걸리면 소나무가 죽기 때문에 이병이 무섭고 어려운 것이다'' 다해서 에이즈라는 이름을 썼는데‚ 최근 에이즈협회에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해서 에이즈라고 쓰지 말라고 공식요청이 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재선충병에 대해서 에이즈라는 말은쓰지 않으려고 합니다.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앵커 : 지금 에이즈에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인데요. 유국장님께서 한말씀 해주시기 바랍니다. 청장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