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성삼문 오동나무’로 민족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운다!

추천0 조회수 14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삼문 오동나무’로 민족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운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성삼문 오동나무’로 민족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운다! 담당부서 연구기획과 작성자 지정훈  게시일 2015-04-02 조회수 1718 키워드 연락처 내용보기 ‘성삼문 오동나무’로 민족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운다! - 국립산림과학원‚ 사육신(死六臣) 성삼문을 기리기 위해 ‘성삼문 오동나무’를 일선 학교에 보급 -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사육신(死六臣) 중 세종 때의 언어학자인 성삼문을 기리는 ‘성삼문 오동나무’를 조직배양법(대량증식법의 일종)으로 만든 묘목을 26일‚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문시중학교(교장 정기영)에 보급했다. 성삼문 오동나무는 성삼문 선생의 과거 급제를 축하하기 위해 북을 달았다는 나무로‚ 현재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114-3번지에서 생장하고 있다. 이번에 보급된 나무는 2011년부터 국립산림과학원과 충남도산림환경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증식기술을 통해 만든 묘목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문흥규 산림생명공학과장은 “성삼문 오동나무가 학생들에게 많은 교훈이 되길 바란다”며 짧은 소감을 말했다. 이어 문시중학교 정기영 교장은 “우리 학교의 교목이 오동나무인 만큼‚ 성삼문 오동나무를 통해 미래의 꿈나무인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의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우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반겼다. 또 이 나무는 국립산림과학원 조직배양연구팀이 2013년 눈(bud) 조직을 조직배양과 뿌리를 이용한 근삽목의 방법으로 묘목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립한 바가 있으며‚ 2건의 특허(10-2013-0073662‚ 10-2013-0073665)로도 출원했다. 한편‚ 사육신은 조선 세조 2년(1456)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된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를 일컫는다. ▶ 내용문의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문흥규 과장‚ 김지아 연구사(031-290-1161) ? ? 첨부파일 0 기내 생장중인 성삼문 오동나무.JPG [402343 byte] 보도자료-‘성삼문 오동나무’로 민족 전통성과 정기를 일깨운다!.hwp [218624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