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수목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통한 체계적 보전 추진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수목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통한 체계적 보전 추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립수목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통한 체계적 보전 추진 담당부서 연구기획팀 작성자 김은아  게시일 2013-07-03 조회수 830 키워드 국립수목원 연락처 내용보기 기후변화 취약식물 마지막 피난처 ‘풍혈지역’ 훼손 심각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의 피난처인 ‘풍혈지역’ 25개소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으로 지정하기로 하였다. 지난 4년간 이 지역들을 대상으로 지리·지형·식생환경 조사와 주요 식물의 생물계절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북방계 식물 24종‚ 희귀식물 19종‚ 특산식물 15종 등 총 365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잠재 풍혈지역선발 및 정밀식생환경조사를 통해 산림내 주요 유전자공급원인 풍혈지역보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은 전국 25개소 풍혈지역에 대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의 피난처(refuge)인 ‘풍혈지역’의 체계적인 보전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풍혈(風穴‚ air-hole)지역은 바위틈에서 여름에 찬공기가 나오고 겨울에 따뜻한 공기가 나오는 지역으로‚ 특이한 기후환경을 가지며 보통 빙혈(氷穴‚ ice hole) 또는 얼음골(ice valley)로 불린다. 이러한 풍혈지역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로 받으며 고산 및 아고산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들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다. 우리나라의 풍혈지역은 1926년 전국 조사를 통해 총 149개소로 알려졌으며‚ 그중 남한에는 54개소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풍혈지역은 산림 내 생물자원의 유전자 공급원(gene pool)으로 생물다양성의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중요한 ‘생물다양성 핵심지역’으로 보호 및 가치의 재평가가 필요하다.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풍혈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4년간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존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주요 풍혈지역 25개소의 환경특성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산림식물 100종에 대해 생물계절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 총 365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눈측백 등 북방계식물 24종‚ 월귤 등 희귀식물 19종‚ 산개나리 등 특산식물 15종 등이 분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풍혈지역 식물 자생지의 급격한 쇠퇴현상이 조사되었다. 의성‚ 진안의 풍혈지역에서는 인위적으로 바람구멍(풍혈)을 막아 북방계 식물 자생지가 훼손되었으며‚ 제천‚ 정선에서는 자생 북방계 식물의 자생지가 불법 채취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은 주요 풍혈지역 25개소를 대상으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산림생물다양성 핵심지역’인 풍혈지역 보호를 강화하여‚ 우리나라 산림생물다양성 유지 및 보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 앞으로 5년간 우리나라 잠재풍혈지역을 선발하고‚ 정밀 식생조사 및 관리방안 등을 작성하여 체계적으로 풍혈지역을 관리할 예정이다. <담당> 산림생물조사과 오승환 연구관 031-540-1072 첨부파일 참고자료_풍혈지역_배포용 [4023808 byte] 풍혈지역_식물.jpg [323079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