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개미침벌로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를 이끈다!

추천0 조회수 14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개미침벌로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를 이끈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개미침벌로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를 이끈다! 담당부서 국립산림과학원 작성자 지정훈  게시일 2011-10-08 조회수 1767 키워드 연락처 내용보기 개미침벌로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를 이끈다! - 매개충 기생천적 개미침벌 방사효과 조사 실시 - □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구길본)은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한국유용곤충연구소와 공동으로 9월 28일 전남 여수 산업단지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 솔수염하늘소의 기생천적인 개미침벌의 현장적용을 위한 방사효과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시험은 6월부터 10월까지 총 5회에 걸쳐 매월 1회 방사하고 1개월 후에 방사시기별 기생효과를 조사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 개미침벌(Sclerodermus harmandi)은 현재까지 알려진 매개충 기생천적 중 생태와 기생특성이 가장 많이 알려진 종으로‚ 실내 접종시 매개충을 100% 치사시켜 현재 중국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주요한 생물적 방제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개미침벌 암컷 성충은 소나무 고사목내 갱도(gallery)에 들어있는 매개충을 탐색‚ 침입하여 매개충이 유충 또는 번데기 시기일 때 독침으로 마비시킨 후 외표피에 50~100개 가량의 알을 산란한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매개충의 체액을 흡즙하며 번데기를 거쳐 다시 성충으로 우화하는 데는 채 1달이 걸리지 않는다. 담 당 : 산림병해충연구과 임업연구사 정찬식(02-961-2655)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보도자료-개미침벌-제출.hwp [7637504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