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수목원‚ 2010년 연평도 식물상 조사결과 발표

추천0 조회수 11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수목원‚ 2010년 연평도 식물상 조사결과 발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립수목원‚ 2010년 연평도 식물상 조사결과 발표 담당부서 작성자 관리자  게시일 2011-01-12 조회수 2092 키워드 연락처 내용보기 국립수목원(원장 김용하)은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4차례에 걸쳐 연평도 식물을 조사결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0종‚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 6종‚ 미기록 식물 2종 등을 포함한 557종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전에 실시된 것으로써 포격 이후 변화된 식물자원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써 중요한 정보를 가진다. 희귀식물로는 해변노간주‚ 초종용‚ 왕씀배‚ 쇠채‚ 금방망이‚ 쑥방망이‚ 물질경이‚ 모새달‚ 두루미천남성‚ 측백나무(식재) 등 10종‚ 특산식물은 뇌성목‚ 둥근잎참빗살나무‚ 서울제비꽃‚ 해변노간주‚ 오동나무(식재)‚ 은사시나무(식재) 등 6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뇌성목이 연평도 곳곳에서 관찰됨에 따라 남한내 서해안지역 일대가 식물지리학적으로 남부아구에 속한다는 학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 특산식물(endemic plants)은 특정 장소나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종으로 고유종이라 부르기도 하며‚ 산림청 지정(2005)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393분류군이다.  ※ 희귀식물(rare plants):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야생의 식물로 특히‚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하여 보전이 필요한 식물로 종의 지리적 분포영역‚ 서식지의 특이성의 정도 및 지역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희귀성의 범주를 설정하며‚ 일반적으로 멸종위기식물‚ 보호식물‚ 감소추세종‚ 특정식물‚ 법정보호식물‚ 적색 식물목록 등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2008)은 571분류군이다. 국내 미기록종 ‘갯무릇’(Scilla scilloides Druce var. litoralis Konta)은 연평도 가리칠기해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무릇’에 비해 잎이 크고 두껍우며 꽃도 많이 달린다. 또한‚ 처음 확인 된 남한 미기록 귀화식물 ‘부령소리쟁이’(Rumex patientia L.)은 소리쟁이와 비교하여 종자의 날개 너비가 넓고 정단부가 V자로 홈이 나있는 특징이 있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귀화식물은 총 70종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식물들을 휘감고 올라가 주변 식물을 고사시키는 가시박은 번식력이 강해 주변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작지와 그 주변의 자생식물들과 농작물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가시박 제거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립수목원은 1999년부터 지속적으로 한반도 식물상 조사?연구를 수행하여 국가표준식물‚ 희귀식물‚ 특산식물 등을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과 국립수목원 홈페이지(www.kna.go.kr)에서 제공하고 있다. 첨부파일 연평도 미기록 식물 [255225 byte] 한국특산식물 [471136 byte] 희귀식물 [717350 byte] 귀화식물 [134234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