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반도에 처음 밝혀지는 미기록 생물 61종 발굴"

추천0 조회수 15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반도에 처음 밝혀지는 미기록 생물 61종 발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한반도에 처음 밝혀지는 미기록 생물 61종 발굴" 담당부서 작성자   게시일 2009-03-31 조회수 384 키워드 국립수목원 연락처 내용보기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생물종을 조사하고 새로운 종들의 발굴을 위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한반도 생물종 조사 연구 사업을 매년 수행해 오고 있다. 현지조사는 생물관련 다양한 전문가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연구진과 20개 대학의 교수 등으로 21개 팀을 구성하여 추진해오고 있으며‚ 2008년 주요 결과로는 한반도에서 이제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61종(식물 4종‚ 곤충 43종‚ 버섯 8종‚ 지의류 6종)의 미기록종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꼬인용담 노란배별기생파리 술잔고무버섯류 이번에 처음으로 발견된 식물들 중 꼬인용담은 히말라야 산악지대(인도‚ 네팔 등)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산성 식물로 강원도 정선군 금대봉 일대에서 발견되어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되었다. 애기개올미(가칭)는 일본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종으로 전남 신안군 압해도 송공산 습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애기실부추(가칭)는 현재까지 러시아‚ 몽고 및 중국 동북부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우리나라 서해도서인 대청도와 백령도에 생육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43종의 미기록종이 발견된 곤충은 기생파리류와 바구미류에서 대거 발굴되었으며‚ 백두산지역 탐사에서도 10종의 밤나방류 미기록종들이 발견되었다. 노란배별기생파리(가칭)는 일본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강원도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등검은바구미(가칭) 역시 그동안 러시아에서만 관찰되었으나 이번에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지역에 걸쳐 폭넓게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버섯에서는 8종의 미기록종이 밝혀졌는데 그중에서 콩꼬투리버섯류와 술잔고무버섯류는 우리나라와 버섯종의 분포형태가 유사한 일본에서도 보고되어 있지 않고 북미와 유럽에서만 출현하고 있는 독특한 종들이다. 한편 지의류는 6종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는데 모두 한반도의 북한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헝가리 학자들이 수집한 표본들을 공동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수목원에서 인수한 것들이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미기록종들에 대해서는 국명을 확정하고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한반도에 분포하는 생물종으로 공식 인정을 받는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산림생물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이들 생물종들에 대한 분포 및 특성 연구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생물주권의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자원생물로서 이용가능한 생물종들은 대량증식 등의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기관 등에 보급하므로써 생물산업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대체 자생생물종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문 의: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최혁재 연구사(031-540-1075) 첨부파일 홍보자료(인프라미기록종)-최종v1.hwp [19456 byte] 홍보자료(인프라미기록종)-사진자료v1(090317).hwp [262144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