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지난해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난해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지난해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 담당부서 대변인실 작성자 정우진  게시일 2016-04-25 조회수 744 키워드 산림청 연락처 내용보기 - 산림청‚ 주요 임산물 6개 품목 임산물생산비 조사결과 발표 - 지난해 생산된 국내 임산물 중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였으며‚ 임산물 생산비가 전년에 비해 다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지난해 생산된 주요 임산물 6개 품목(밤·대추·호두·떫은감·표고버섯·더덕)에 대한 임산물생산비 조사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임산물생산비 조사는 임업 경영진단·설계 등 임업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활용하기 위해 산림청이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사결과‚ 지난해 임업 경영능력 증가와 노동비 등의 감소로 유실수(임산물 과실수) 생산비가 전년(2014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전년 대비 생산비(ha당)는 밤‚ 대추‚ 호두‚ 떫은감이 4.60%p∼8.61%p 감소했다. 표고버섯과 더덕 생산비는 전년과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지난해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였다. 소득률(소득/평가액)은 호두가 76.5%로 가장 높았고 떫은감 61.6%‚ 대추 60.1%‚ 더덕(2년 1기작) 58.9%‚ 밤 5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ha)당 소득은 대추(1594만 3000원)가 가장 높았다. 특히‚ 대추는 생산량 당 투입 비용도 낮아 귀산촌을 준비하고 있다면 눈여겨 볼 만한 임산물이다. 산림청 김찬회 정보통계담당관은 "가뭄 등 예년보다 불리한 기상 여건에도 불구하고 임가의 임업 경영능력 증대로 생산비가 감소했다."라며 "앞으로도 정확한 통계조사 결과 제공을 통해 임업인의 경영 활동을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160422)보도자료_지난해 소득 효자 임산물은 ‘호두’.hwp [1051648 byte] 1_forest_news.jpg [86903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