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명산ㆍ계곡] 홍성 옹암리의 낙엽활엽수목

추천0 조회수 31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산ㆍ계곡] 홍성 옹암리의 낙엽활엽수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명산ㆍ계곡] 홍성 옹암리의 낙엽활엽수목 작성자 김민규  작성일 2004-11-04 조회수 4211 전화번호 촬영일 촬영지 당산림 촬영자 키워드 카테고리 명산ㆍ계곡 내용보기 소 재 지 : 충남 홍성군 광천읍 옹암리 산 42 소 유 자 : 국유 면 적 : 7‚339 m2 특징수종 : 느티나무 수 고 : 12/10 ~ 15 m 우 점 종 : 벗나무 흉고직경 : 60/30 ~ 150 cm 쉬나무 수 령 : 100 ~ 300 년 느릅나무 수 관 폭 : 10 ~ 15 m 지 하 고 : 2 ~ 4 m 보호지정품격 : 미지정 중부 서해안 천수완의 바닷물과 민물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마을로서 지역주민들은 어업과 농업에 함께 종사하며 생활하고 있는 복합농어촌 마을로 해변을 따라 2l번 국도가 마을복판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본 당산림은 마을 동쪽 뒷편 농경지주변으로서 구릉지의 능선지역에 경사 완만한 제방 형태를 이루며 숲과 상집이 위치하고 있다. 토성은 사양토이나 점토성분이 많은 편이며 토심은 깊으나 약간 건조하고 비옥하지는 못한 편이다. 강한 해풍으로부터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공 식재된 숲으로서 예전에는 소나무가 우점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농경지조성을 위한 벌채등 개간을 통하여 현재는 소나무 숲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이며 능선을 따라 벚나무‚ 쉬나무‚ 느릅나무‚ 말채나무 등 락엽활엽수들이 줄나무를 이루고 있다. 관목으로는 당집 주변에 향나무를 비롯하여 구지뽕나무‚ 누리장나무‚ 찔레‚ 리기다소나무‚ 으름‚ 사위질빵‚ 청가시덩굴 등과 초본으로는 꼭두서니‚ 쑥‚ 소리쟁이‚ 토끼풀‚ 개망초‚ 질경이‚ 민들레 등으로 피복되어 있으나 벚나무 등 교목들은 수세가 쇠약한 편으로서 후계림 조성이 요망된다. 약 100여년 전부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당집을 짓고 제사를 지내 왔었으나 당이 소실되고 제를 지내지 않자 마을에 재앙이 계속 발생되어 마을 주민들의 노력으로 ''86년에 당집을 복원하여 다시금 제사를 지내자 마을에 평온이 찾아 왔다고 하며 새로 건축한 당집은 콘크리트조 기와 건설로 아름답게 단청을 하고 [옹암영산당]이라는 현판을 설치하였는바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당집 중 건축물 중의 하나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옹암리 마을은 200여 가구에 지역주민 700여명으로 매우 큰부락으로서 매년 12월 20일 ((음)에 이장선거때 제주를 선정하여 보름간 몸과 마음을 청결히 하고 부정한 것을 절대금지로 하여 정월 초 엿샛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는데 그 비용은 마을 공동경비로 충당한다. ┌─────┐ │ 느티나무 │ 학명 : Zelkova serrata Makino └─────┘ 영명 : Zelkova tree 장수목으로서 전국에 걸쳐 정자목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며 한명에서 나타나듯 귀신나무 즉 당산목으로 토속 신앙의 대상으로서 촌락을 수호하는 수호목으로 되어 우리 민족의 애환과 깊은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한편‚ 옛 선조들은 봄에 잎이 피어나는 모습을 보고 잎이 일제히 싹이 트면 그 해 농사가 풍년이고 그렇지 않으면 흉년이라고 예측하였다고 하며 재질이 뛰어나 목조불상은 대개 느티나무로 조각하였으며 무늬단판‚ 마루판 등 용도가 다양하다. 수명이 길고 수형이 단정하며 수관폭이 넓어서 록음수로 가장 휼륭하므로 공원이나 가로수로 적당한 수종이다. 첨부파일 t02601.jpg [188416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