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산림문화유산 답사기]?氣가 내려오는 朝宗岩

추천0 조회수 76 다운로드 수 6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림문화유산 답사기]?氣가 내려오는 朝宗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산림문화유산 답사기]?氣가 내려오는 朝宗岩 담당부서 북부청  작성자 홍현정  작성일 2007-07-11  조회수 1352  키워드 연락처 내용보기  가평군 하면 대보리 산176-1번지‚ 朝宗岩   혈(穴)에 들어서면 현기증이 들 정도의 강력한 기(氣)가 온몸에 감싸고 조금 3~4초 있으면 아주 포근한 地氣로 온몸을 감싸고 편해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가평 하면 조종천이 흐르는 산 굽이를 돌아서면 괴암절벽 여러개의 바위에 새겨 놓은 암각문과 비석‚ 단지(壇地)가 있는 조종암(朝宗岩)이 눈 안에 들어선다. 현재는 경기도기념물 제26호(1975.09.05)로 지정되어 관리가 잘 보존되고 있다.   조종암은 조선 숙종 10년(1684년)에 우암 송시열이 명나라의 마지막 왕 의종의 어필인 「사무사(?無邪)」를 새기고 또 효종이 대신에게 내려준 「일모도원 지통재심(日暮途遠 至痛在心)」이라는 문구를 써서 당시 가평군수인 이제두에게 보내어 이를 정한 장소를 정해 새기도록 부탁하였다고 한다. 이에 이제두‚ 허격‚ 백해명 등 여러 선비가 힘을 합하여 위 글귀와 선조의 어필인 「만절필동 재조심방(萬折必東 再造瀋邦)」와 선조의 후손인 낭선군의 글 「조종암(朝宗岩)」을 바위에 새겼다  이 암각문은 임진왜란때 明나라가 베푼 은혜와 ?나라에게 받은 수모를 잊지 말자는 뜻을 이 바위 위에 새겨 오랜 세월 동안 후손들의 애환을 충분히 위로해 주었을 듯하다. 요즈음 한창 이슈화 되는 ''FTA (자유무역협정)'' 는 현재와 훗날 자손에게 어떠한 애환이 될지 아니면 귀감이 되는 일로 남아 있을지.....  * ?無邪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  * 日暮途遠 至痛在心-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먼데 지극한 아픔  이 마음 속에 있네 * 萬折必東 再造瀋邦 -일만 번 꺽여도 반드시 동녘으로 흐르거니 명나라 군대가 왜적을 물리치고 우리나라를 다시 찾아주었네 < 산림문화유산 리포터‚ 춘천국유림관리소 임흥규 > 첨부파일 이전글 [보도자료]숲 사진 콘테스트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요~ 다음글 [기고]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주민소득향상에 이바지하길... 만족도 조사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