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영상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 - 이슬기

추천0 조회수 31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 - 이슬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1-09-07
분류(장르)
영상
요약정보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 - 작곡/ 강준일‚ 연주/ 이슬기> '"율새"란 "율의 사이" 즉 율려를 쉽게 풀어 쓴 것이다. 이 작품은 우리 전통 음악문화의 근본을 이루는 율려(律呂)의 이치를 새롭게 형상화하는 의도로 계획되었다. 율(律)이 정해진 섭리의 이치라면 여(呂)는 정해진 율 위에서 얻어지는 무한한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우리 음악이 정해진 음율 안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은 일찍이 우리 선조들이 이러한 이치를 숭상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음악의 농현‚ 시김새‚ 등은 바로 율(律)안에서 여(呂) 자유로움을 구사하기 위한 방편 중의 하나다. 이 작품에서는 정해진 율과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소리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가를 전통가야금으로 표현하려 한다. 곡은 다음 여섯으로 나뉜다. 제1곡 : <理> 이치를 쫓다 제2곡 : <志> 뜻을 세우다 제3곡 : 생각하다 제4곡 : <表> 드러내다 제5곡 : 마음으로 느껴서 제6곡 : <無> 덧 없음이라 곡의 처음은 정해진 섭리 <理> 에서 시작되지만‚ 갈수록 마음과 느낌을 통해서 점점 자유로워진다. 그러다가 끝내는 무상(無常)함에 이른다. 진정한 자유로움은 정해진 틀 안에서 얻어지는 것이라는 뜻도 숨겨져 있다. - 일시 : 2011년 06월 27일(월) 19:30 - 장소 : 올림푸스홀 - 공연명 : 이슬기 가야금 독주회 '낙이불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gugakfm.co.kr
분류(장르)
영상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