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반자

추천0 조회수 12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반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반자는 불교사찰에서 사용하는 도구의 하나로 금속으로 만든 일종의 타악기이다. 금고 또는 금구라고도 하며‚ 절에서 대중을 불러 모으거나 급한 일을 알리는 데 사용하였으며‚ 현재에도 같은 용도로 많은 사찰에서 사용하고 있다. 징과 같은 형태로 한 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터져 있으며‚ 막힌 쪽을 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낸다. 보통 고리가 두 개 또는 세 개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매달아 둔다. 막힌 면에는 대체로 양각으로 동심원을 새기고 그 중앙에 연꽃무늬를 그려 넣고‚ 적당한 위치에 구름무늬 등을 배치한다. 이 유물은 둥근 동심원이 나타나고 보상화가 앞 면 전체에 걸쳐서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금고의 테두리에는 당초무늬가 둘러져 있다. 보상화무늬는 연꽃을 모체로 하여 꽃잎들을 층층이 중첩시켜 화려한 색채와 장식성을 부가한 것이다. 통일신라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무늬가 있었으나 단층의 조형화가 비교적 간단하였다. 그 뒤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보다 화려해지면서 다방면에 걸쳐 사랑받았다. 보상화의 보(寶)는 진귀함을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탑을 보탑이라고 하는 것이 같은 용례이다. 보상화는 천상계를 상징하는 꽃이다. 성인이 득도하였을 때나 하늘에서 내려올 때‚ 또는 하늘로 다시 올라갈 때의 그림에는 여러 모양의 천화가 나타난다. 당초는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키는데 세계 여러 나라에서 폭넓게 나타난 무늬이다. 덩굴은 가지가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연면의 상징성을 나타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