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범종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범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사찰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쓰이는 범음구. 범종은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불교공예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식법구의 하나로 원래 인도의 건추와 중국의 편종을 근거로 해서 만들었다고 하나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설이 없다. 우리나라 범종은 크기와 모양이 일정치 않으나 신라종이 으뜸이며 중국이나 일본종의 형태와는 다른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형태는 매달기에 편리하도록 용뉴와 음향의 효과를 위한 음통(音筒)이 종의 맨 윗부분에 있으며 그 아래 몸체는 대부분 상대‚ 중대‚ 하대로 구분되고 이들 사이로 유곽(乳廓)‚ 당좌(撞座)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당좌 사이에는 비천이나 불‚ 보살‚ 나한상들을 표현하기도 한다. 보통 청동으로 만든 것이 많지만 드물게 철로 주조된 예도 있다. 고려시대의 범종은 몸체 아래 부분이 점차 밖으로 벌어지며 종의 어깨에 삼각형의 꽃잎장식이 첨가되고 몸체의 무늬도 부처와 보살상 등이 많이 표현되어 복잡해지며 40cm이하의 소형 종이 주로 제작된다. 이 범종의 경우도 위와 같이 그 표현이 굉장히 화려하고 복잡하다. 용뉴는 부리부리한 눈과 여의주를 문 입‚ 뒤로 뻗은 귀와 여의주를 잡고 있는 발이 모두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매우 세련된 느낌을 주고 유곽안의 종뉴는 5개씩 연꽃 받침으로 표현하였다. 유곽 아래에는 6잎의 연꽃잎 당좌와 무릎을 꿇고 앉아 합장하는 보살상이 번갈아 가며 있고 당좌와 보살상 사이에는 어깨에서부터 늘어뜨린 연주문과 3개로 갈라진 보석모양 문양이 나 있다. 용은 모든 실재하는 동물과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과 장점을 취합하여 만들어 낸 신비한 동물이다. 사람들은 용의 다양한 성질과 신비한 능력에 의탁하여 그들이 바라는 바가 성취되기를 빌었다. 모든 불교미술에서 나타나는 용무늬는 불법을 수호하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