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표주박

추천0 조회수 8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표주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조롱박이나 둥근 박을 절반으로 쪼개어 만든 작은 바가지다. 음력 8월경 추수가 끝나고 첫서리가 내릴 즈음‚ 농가의 지붕 위에 놓인 둥근 박이나 길쭉하면서 중간이 잘록한 호리병박을 반으로 타서 삶아 껍질을 말려 만든다. 표주박의 용도는 흔히 물을 퍼내는 데 쓰였다. 이밖에도 술독에 띄워놓고 술을 퍼내는 데 쓰기도 하였고‚ 장조랑 바가지라고 하여 간장독에 띄워놓고 간장을 떠낼 때에 쓰기도 하였다. 또한 혼례에 사용하였는데 신랑‚ 신부가 대작을 한 뒤 그 두 표주박을 합쳐 신방의 천장에 매달아 애정을 보존하였다. 이 표주박에는 커다란 매화나무가 한 그루가 중심 가지는 위로 쭉 올라가고 양갈래의 가지가 나와 있다. 나무의 아랫부분은 표주박 밖으로 나와 있는 형태이다. 매화나무에는 매화꽃 한송이가 피어 있다. 오른쪽 가지에는 새 한 마리가 앉아 있고‚ 왼쪽에는 나비 한 마리가 꽃을 향해 날아오고 있는 형태이다. 매화는 이른봄에 피어서 봄을 알리는 꽃으로 알려져 있다. 차가운 겨울을 이겨내고 아름다움 꽃을 피우는 매화는 선비의 굳은 절개와 지조를 나타내는 사군자 중의 하나였다. 매화무늬에는 새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매화가지에 까치나 산새가 앉아 있는 무늬는 매화는 이른봄에 피니 봄소식을 가장 먼저 전하고 까치는 기쁜 소식을 알리므로 '희보춘선(喜報春先‚ 봄이 왔다는 기쁜 소식을 먼저 알림)'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매화꽃을 향해서 날아오고 있는 형상의 나비는 인생의 즐거움과 자유연애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나비는 장자의 호접몽 설화에서부터 인생의 즐거움과 행복을 상징하는 동물이 되었다. 만물이 회생하는 봄날에 자유롭게 날아다니면 짝을 찾아가는 나비는 자유연애와 미호‚ 행복의 상징이 되기도 하였다. 생활도구에서 많은 사랑을 많은 무늬이기도 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