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문자문('옴'자)

추천0 조회수 13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문자문('옴'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목탁의 오른쪽 하단에는 ‘옴’자가 새겨져 있다. 옴은 불교의 진언(眞言) 가운데 가장 위대한 것으로 여겨지는 신성한 음절이다. 산스크리트어(인도의 고어)에서 승낙을 나타내는 경어였다. 불교에서는 옴을 태초의 소리‚ 우주의 모든 진동을 응축한 기본음으로 보고 부처에게 귀의하는 자세를 상징한다. 고대 인도에서는 종교적인 의식 전후에 암송하던 신성한 음이었다. 옴을 염송하면 공덕이 사후에 미쳐‚ 영혼이 미망(迷?)의 세계에서 떠도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다. 힌두교에서 옴은 아(a)-우(u)-움(m) 세 자가 합성된 것이다. '아(a)'는 한자로 '아(阿)'로 쓰는데‚ 본불생(本不生)의 뜻으로 법신(法身)을 말한다. '우(u)'는 한자로는 '오(烏)'로 표기하고 불가사의를 뜻하며‚ '움(m)'은 한자로 '마(麻)'라 쓰는데 자아를 깨닫지 못하는 중생을 가리킨다. 이 세 자는 각각 만물의 발생‚유지‚소멸을 나타낸다. 한국 불교에서는 '옴'으로 시작되는 '옴 마니 반메 훔'의 6자 진언을 대명왕진언이라 하여 지혜와 복덕을 갖추게 하고 삼독(三毒)에 물들지 않게 하는 신통력이 있는 것으로 여긴다. 목탁에 옴자를 새긴 것은 중생들에게 깨달음의 진언이 널리 퍼지기를 바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