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갓상자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갓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갓을 넣어두는 함이다. 조선시대에 갓 착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이나‚ 갓의 역사가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는 것을 볼 때‚ 갓집 역시 그 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명확한 사료(史料)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조선시대부터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갓집은 전체구조가 8각형을 기본 형태로 되어있으며 종이를 여러 번 풀칠해 겹쳐 만드는 후지(厚紙)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모자가 들어가는 대우부분(갓 위의 원통형 부분)에는 십자문이 시문되었고 양태부분(갓의 테두리 부분)에는 팔괘무늬가 시문되었다. 십(十)이란 숫자는 동양사상에서 여러 가지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십(十)’이란 숫자는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이이다. 여기에서 ‘一’은 동·서를 나타내고 ‘ㅣ’은 남·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十’이란 숫자는 사방‚ 중앙이 모두 갖추어짐을 뜻하며 완전함을 나타낸다. 또 수평과 수직이 교차하는 십자무늬는 일반적으로 음양의 조화를 상징한다. 팔괘(八卦)는 중국 상고시대 복희씨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지었다고 전한다. 자연계(自然界)와 인사계(人事界)의 모든 현상을 여덟 가지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괘 두 개씩을 겹쳐 육십사계를 만들고 이것으로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게 되었다. 팔괘의 ‘건(乾)’은 하늘‚ ‘태(兌)’는 못‚ ‘이(離)’는 불‚ ‘진(震)’은 눈‚ ‘손(巽)’은 바람‚ ‘감(坎)’은 물‚ ‘간(艮)’은 산‚ ‘곤(坤)’은 땅을 일컫는다. 음양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의 부호를 ‘효(爻)’라 하며‚ 양효(陽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 음효(陰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를 사용한다. 양은 하늘을 근본으로 하고‚ 음은 땅을 본체로 한다. 천지 창조의 과정에 있어서 하늘이 시초이므로‚ 하나를 의미하는 ‘―’로 양을 표시하고‚ 땅은 하늘 다음으로 둘째이므로 둘을 의미하는 ‘­­’로 음을 표시한다고 한다. 하나의 괘를 만든 것은 천‚ 지‚ 인의 삼재를 의미한 것이라 한다. 효가 셋 거듭하면 소성괘(小成卦)가 성립되는데‚ 팔괘는 소성괘 여덟 개로 구성된다. 옛 사람들은 천지자연과 인생의 도가 팔괘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것을 생활에 실천함으로 인간의 흥망성쇠와 길흉화복이 자연의 도와 합하여질 수 있다고 믿었다. 팔괘는 하늘과 땅을 비롯하여 천지자연의 현상을 상징하며‚ 동시에 모든 길흉화복을 상징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