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갓집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갓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갓을 넣어두는 함이다. 조선시대에 갓 착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이나‚ 갓의 역사가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는 것을 볼 때‚ 갓집 역시 그 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명확한 사료(史料)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조선시대부터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것은 종이를 두텁게 붙여서 만든 후지(厚紙)를 가지고 만든 갓 상자로 8각을 이루고 있다. 모자가 들어가는 대우부분(갓 위의 원통형 부분)과 양태부분(갓의 테두리 부분)이 들어가는 부분들도 모두 8각으로 되어있으며‚ 모자의 꼭대기가 들어가는 뚜껑표면에는 ‘복(福)’자을 음각한 원 안에 넣고 그 바깥에 톱니무늬를 새기고 다시 가장자리에 번개무늬를 새겼다. 양태가 들어가게 되는 부분도 역시 8각으로 되어있으며 각각의 면에는 ‘수복강령(壽福康寧)’이 돌아가면서 양각되어 있다. 수복강녕(壽福康寧)자 무늬는 한자를 그대로 취한 무늬로 문자 뜻대로 장수하며 건강하고 평안하게 사는 복을 누리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 있다. 예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五福)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 『상서(常書)』의「홍범(?範)」편에‚ “오복이란 첫째가 수(壽 : 오래 삶)‚ 둘째가 부(富 : 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 : 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德 : 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 : 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 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글자 문양들은 해서나 초서로 된 것과 전서체(篆書體)나 도안화된 것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수놓아진 경우에는 대개 해서체나 초서체가 많다. 그릇이나 기물‚ 기와 등의 공예품에서는 전서체나 도안체로 된 글자가 많다. 톱니문은 청동기 시대 이전부터 사용된 삼각형과 사선으로 이루어진 무늬이다. 삼각형은 주술적으로 재생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또 여성의 성기를 상징한다. 그래서 톱니무늬는 곧 다산과 풍요의 여성적 상징물이라 해석된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