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화각오동은입사장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화각오동은입사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화각으로 장식한 장이다. 화각이란 쇠뿔을 얇게 켜서 채색그림을 그린 후 이를 목물(木物)위에 장식하는 기법과 그 제품이다. 화각(畵角)‚ 화각(畵刻)‚ 화각(花角)‚ 화각(火角) 등의 명칭으로 부르는데 우리나리에서는 화각(華角)으로‚ 일본에서는 화각(畵角)이라 한다. 화각의 채색 그림들은 십장생‚ 풍속도 ‚화조도‚ 기명(器皿)‚ 절지折枝)‚ 금수도‚ 수복강녕 등으로 적(赤)‚ 청(靑)‚ 황(黃)‚ 록(綠)‚ 백색(白色)의 진채 안료를 사용한다. 이 화각장은 애기장 또는 버선장이라고도 부르는 소형 장이다. 이 장에는 십장생과 꽃·새무늬가 장식되었다. 십장생은 해‚ 산‚ 돌‚ 물‚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한다. 동양 사상에서 십(十)이란 숫자는 여러 가지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십(十)’이란 숫자는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이 되며‚ 여기에서 ‘一’은 동서를 나타내고‚ ‘ㅣ’은 남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十’이란 숫자는 사방‚ 중앙이 모두 갖추어짐을 뜻하며‚ 완전함을 나타낸다. 해(日)는 오래전부터 남성적인 원리를 상징해왔다. 양(陽)을 나타내는 해는 지상 최고‚ 권화의 상징이다. 산(山)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신성한 것이며 동시에 장수를 상징한다. 구름(雲)은 예부터 천신이나 신령들이 부리를 탈 것일 뿐 아니라‚ 만물을 자라게 하는 비의 근원이라고 여겨졌다. 따라서 구름은 장수와 길상을 상징한다. 물(水波)은 오행(五行) 중 첫째로‚ 나무를 만들고 불을 이긴다. 따라서 물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영구히 존재하기 때문에 장수의 상징이다. 소나무(松)는 사계절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하여 예전 사람들은 이것을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다른 나무들과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아 역격을 만났을 때도 떠나지 않고 남아 있는 친구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우정에 비유되었다. 바위(岩) 역시도 오랜 세월을 두고 변치 않아서 장수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비‚ 바람을 가리지 않고 말없이 의연한 자태는 군자의 풍모를 엿볼 수 있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학(鶴)은 우리 전설 속에서 봉황 다음으로 이름 높은 새이며‚ 수많은 신화적 속성을 부여받고 있다. 학은 날짐승의 우두머리로서 구름과 같이 그려지는데‚ 이러한 문양을 운학문이라 한다. 전설에 의하면 학에는 흑·백·황·청색의 네 종류가 있는데‚ 그중 흑색 학이 가장 오래 산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학은 장수를 상징하고 있다. 불로초(不老草)는 지초(芝草) 또는 영지초(靈芝草)라고도 한다. 장생불로의 상징적 무늬로‚ 십장생도에서는 사슴이 물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사슴(鹿)은 불멸의신성한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여겨왔다. 종종 관리들의 벼슬을 상징하는데‚ 사슴 녹(鹿)자와 벼슬 녹(祿)자는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사슴도 학처럼 흔히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영물로 나타나는데‚ 뿔이 봄에 돋아 자라서 굳어 떨어지고 다시 봄에 돋아나기를 거듭하므로 장수와 재생‚ 영생을 상징하여‚ 베갯모나 주머니 등에 수놓아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