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청화백자철채해태형연적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청화백자철채해태형연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연적은 벼루에 먹을 갈 때 적당한 양의 물을 떨어뜨려 주기 위한 목적에서 고안된 용기로‚ 구멍 둘을 내어 공기를 조절함으로써 연적 안에 물을 넣고 또 원하는 만큼의 물이 나오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문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 들어와 연적에 대한 수요는 증가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적들이 만들어 졌다. 특히 18세기에는 문인 사대부 취향의 그릇들이 다수 제작되는데‚ 그 한 예로 시정이 넘치는 작고 아담한 각종 연적들이 만들어진다. 형태로는 팔각‚ 사각 같은 각형이 등장하였고 조선 고유의 두꺼비나 개구리 연적‚ 무릎 연적‚ 복숭아 연적처럼 다양하고 정감 어린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연적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비교적 큰 것은 장식품으로 애호되어 왔다. 이것은 해태 모양의 백자 연적이다. 해태의 벌어져 있는 입과‚ 등 위에 얹혀 있는 호리병에 구멍이 뚫려 있어 물을 쉽게 넣고 따를 수 있도록 하였다. 해태의 몸통에 여러 가지 문양을 그려 장식하였는데‚ 눈썹과 눈‚ 코‚ 입술과 방울끈‚ 호리병 아래 연판문‚ 그리고 몸통 옆면과 뒷다리에 그려진 풀꽃문은 청화(靑畵)를 이용해 푸르게 채색하였다. 또 귀‚ 목에 달린 방울‚ 앞다리와 뒷다리에 달린 날개‚ 네 발‚ 정수리와 엉덩이에 그려진 풀꽃문 등은 진사(辰砂)를 사용해 갈색으로 표현하였다. 해태는 조선시대 말엽 대원군 때 경복궁‚ 창덕궁 등 궁궐을 재건하면서 화재(火災)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神?) 또는 벽사의 의미로 장식되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광화문 앞에 서있는 것이 있으며 그 밖에도 경복궁 근정전의 월대 난간 네 모퉁이와 자경전 굴뚝 십장생 전동 장식에서 볼 수 있다. 해태라는 말은 해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해치는 요순(堯舜)시대에 이 세상에 태어났다는 상상의 동물로 그 이름도 해치‚ 신양(神羊)‚ 식죄(識罪)‚ 해타 등으로 불렸다. 해치의 모습과 성질에 대새 『논형(論衡)』「시응편(是應篇)」과 『이물지(異物志)』 등을 통해 알 수 있는데‚ 뿔을 하나 가진 동물로서 모습은 양을 닮았으며 대단히 영물스럽고 사람의 시비곡직을 판단하는 신령스러운 재주가 있어 성군을 도와 현명한 일을 많이 하였고 만일 잘못한 사람이 있으면 그 뿔로 덤비어 받아넘기는 ‘정의의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司憲의 胸背에 쓰여 지기도 하였다. 흉배에 나타나는 해태의 모습은 鹿角과 같은 뿔이 달린 머리와 목덜미에는 용처럼 갈기가 돋았고 포효하는 듯한 크게 벌린 입‚ 경쾌한 몸집‚ 그리고 꼬리 끝에는 사자처럼 긴 털이 돋아 있다. 호리병의 한자 표기는 호리병박 표(瓢)이며 속칭 표단(瓢簞)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선약(仙藥)을 상징한다. 도교에서는 신선이 선약(仙藥)이 들어 있는 호리병을 항상 지니고 다니면서 사람의 병을 치료해준다고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