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등국사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등국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국민정신 함양을 위한 중등학교 국사 교과서이다. <목차> 제1부 고대(古代) 1 조선(朝鮮)의 건국(建國) 2 민족(民族)의 자각(自覺) 3 삼국(三國)이 패(覇)를 다툼 4 문물(文物)의 교류(交?) 5 고구려(高句麗)의 강성(强盛) 6 신라(新羅)의 통삼(統三) 7 발해(渤涇) 8 고대의 사회생활(社會生?) 9 신라의 성시(盛時) 10 후삼국(後三國) 제2부 고려시대(高麗時代) 11 북진(北進)의 국책 12 거란(契丹)과 여진(女眞) 13 해외(涇?)의 교통(交通) 14 최씨(崔氏)의 집권(執權) 15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16 문화의 발달(發達) 17 원(元)과의 관계(關係) 18 홍두적(紅頭賊)과 왜구(倭寇) 19 고려가 망(亡)하다 20 고려시대의 학예(學藝) 제3부 이씨조선시대(李氏朝鮮時代) 21 이씨조선의 창업(創業) 22 국민문화의 整備 23 남국의 교통 24 유학(幼學)과 그 여폐(餘弊) 25 임진왜란(壬辰倭亂) 26 병자호란(丙子胡亂) 27 경제방면(經濟方面)의 개선(改善) 28 문화의 진흥(振興) 29 세도(勢道) 30 서학(西學) 제4부 국제조선시대(國際朝鮮時代) 31 세계가 가까워짐 32 외국통교(?國通交) 33 청·일의 갈등 34 갑오경장(甲午更張) 35 대한제국(?韓帝國) 36 아(俄)·일의 겯고름 37 일본과의 관계(關係) 38 간도문제(間島問題) 39 이씨조선의 학예 40 독립(獸立)의 회복 총론(總論) 역대일람(歷代一覽) 조선역대표(朝鮮歷代表) <주요내용 및 특징> 고대‚ 고려시대‚ 이씨조선시대‚ 국제조선시대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시대 각 국가의 국민생활과 문화발전에 관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각 국가의 위치 지도와 중요한 문화유산에 관한 사진 및 그림을 삽입하여 한반도 역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였다. 미군정 하의 학무국은 1945년 9월에 각 학교의 새로운 교과목 편제와 시간 배당을 발표하고‚ 국어 교육의 보급에 치중하였다. 이 시기 초등학교에서는 새로운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공민과를 신설하였고‚ 1946년 9월부터는 교육심의회(敎育審議會)에서 새로운 교과과정을 편성하여 교과목 중 사회생활과를 신설하였다. 교육심의회는 1946년 6월에 학제를 6‚6‚4제로 개혁하였다. 국민학교는 6년 의무교육과 수업료 폐지‚ 취학 연령을 6세부터 11세로 하였고‚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고등 중학교는 6년으로 하였다. 사범학교는 3년제로 15세부터 17세까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실업 및 기술교육이 3년제의 실업 초급 중학교와 실업 고급 중학교 및 단기양성소 등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대학의 경우는 수업연한을 4년제로 함과 동시에 취학 연령을 만 18세부터 21세까지로 정하였다. 학무국은 1946년 11월 《교수요목(敎授要目)》을 발표함과 아울러 교과서 편찬사업에 주력하였다. 교수요목의 특색은 교과 지도 내용의 상세화‚ 분과주의 채택과 체계적 지도를 통한 지력 배양‚ 홍익인간의 이념에 의한 애국 애족 교육과 일제 잔재의 제거 등을 들 수 있다. 1949년 최초의 <교육법>이 마련되면서 6‚3‚3‚4제의 학제가 확립되었다.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보통 교육을 목적으로 한 초등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 국민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위에 중등 보통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위에 고등 보통 교육과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3년이다. 또한 학령을 초과하였거나 정규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아동을 위하여 공민학교(公民學校)와 고등 공민학교를 설치하였고‚ 초급 기술 교육을 위한 기술학교와 고등 기술학교 제도를 두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