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년필독석의 상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년필독석의 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초등학교 교과서인 《유년필독(幼年必讀)》의 교사용 교과서로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위해 교사에게 필요한 참고 사항을 담고 있는 지침서이다. <주요내용 및 특징> 《유년필독석의》는 상권과 하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上)권에는 《유년필독》 권3까지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에는 종래 외국 위주의 사상교육이 조선의 패망을 초래한 원인이 되고 있음을 통탄하고‚ 애국심과 자주·자립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민족주의교육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교과서의 모든 목차의 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의 여러 위인의 행적과 난(亂) 등 불행한 역사적 경험‚ 애국에 관련된 노래 등을 수록하여 애국심과 자주·독립·애국사상에 교수의 주안점을 두었다. 4권 2책 중에서 본 상(上)권은 3권 1책이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목차> -권1- 1. 나라 一 2. 나라 二 3. 우리 ?韓(대한)나라 4. 平壤(평양) 一 5. 平壤(평양) 二 6. 平壤(평양) 三 11. 金剛山(금강산) 一 12. 金剛山(금강산) 二 13. 乙支文德(을지문덕) 一 14. 乙支文德(을지문덕) 二 15. 乙支文德(을지문덕) 三 16. 楊萬春(양만춘) 一 17. 楊萬春(양만춘) 二 19. 江(강)과 原野(원야) 20. 우리나라面積(면적) 21. 百濟(백제) 一 22. 百濟(백제) 二 23. 百濟(백제) 三 24. 成忠(성충) 一 25. 成忠(성충) 二 29. 氣候(기후) 30. 人?(인정) 32. 後百濟(후백제) 一 33. 後百濟(후백제) 二 -권2- 1. 慶州(경주) 一 2. 慶州(경주) 二 3. 慶州(경주) 三 4. 金庾信(김유신) 一 5. 金庾信(김유신) 二 6. 金陽(김양) 一 7. 金陽(김양) 二 8. 張保皐(장보고) 一 9. 張保皐(장보고) 二 10. 崔致遠(최치원) 一 11. 崔致遠(최치원) 二 12. 나라三四(삼사) 13. 世界最小民主國(세계최소민주국) 16. 風俗(풍속) 一 17. 風俗(풍속) 二 18. 國家(국가) 一 19. 國家(국가) 二 20. 國民(국민)의 權利(권리) 國家本義(국가본의) 國家及皇室(국가급황실)의 分別(분별) 國家及政府(국가급정부)의 關係(관계) 君主及政府(국가급정부)의 權限(권한) 國民及政府(국가급정부)의 關係(관계) 君主(군주)의 主權(주권)‚ 國民(국민)의 義務(의무) 國民(국민)의 權利(권리) 獸立國自主民(독립국자주민) 21. 開城(개성) 一 22. 開城(개성) 二 23. 開城(개성) 三 24. 庾黔弼(유검필) 25. 徐熙(서희) 29. ?邯贊(강감찬) 一 30. ?邯贊(강감찬) 二 全國(전국) 蒙古(몽고) 32. 高麗歷代摠說(고려역대총설) 一 33. 高麗歷代摠說(고려역대총설) 二 -권3- 1. 本朝歷代(본조역대) 一 2. 本朝歷代(본조역대) 二 6. 三角山(삼각산) 8. 本朝歷代(본조역대) 三 9. 黃喜(황희) 10. 本朝歷代(본조역대) 四 六臣(육신)의 忠節(충절) 端宗記事(단종기사) 11. 本朝歷代(본조역대) 五 12. 遜順曉(손순효) 13. 句港口三開市場(구항구삼개시장) 仁川濟物?(인천제물포) 東萊釜山港(동래부산항) 昌原馬山?(창원마산포) 德源元山港(덕원원산항) 吉州城?港(길주성진항) 三和甑南?(삼화증남포) 沃滿?山港(옥만군산항) 務安木?(무안목포) 龍川龍巖?(용천용암포) 平壤開市場(평양개시장) 義州開市場(의주개시장) 慶興開市場(경흥개시장) 14. 島嶼(도서) 濟州道(제주도) 巨濟島(거제도) 南涇島(남해도) ?島(진도) 江華島(강화도) 鬱陵島(울릉도) 15. 本朝歷代(본조역대) 六 16. 本朝歷代(본조역대) 七 17. 本朝歷代(본조역대) 八 18. 壬辰亂(임진난) 21. 李舜臣(이순신) 25. 血竹歌(혈죽가) 一 26. 血竹歌(혈죽가) 二 27. 金德齡(김덕령) 一 28. 金德齡(김덕령) 二 31. 적인일을賤(천)?다말일 32. 鄭起龍(정기룡)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