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골각기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골각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짐승·새·물고기 등의 뼈·뿔·이(齒)를 이용해 만든 기물. <발달과정/역사> 골각기의 사용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마들레니안기(Madelenian期)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구석기시대의 골각기에 대한 보고는 없고‚ 신석기시대와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의 조개더미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에도 계속 골각기가 사용되었다고 믿어지지만‚ 해안지대 일부를 제외하고는 출토 사례가 극히 적다. 골각기는 용도에 따라 농기구·공구·무기·어구(漁具)·토기시문구(土器施文具)·장신구·조각품 및 기타로 구분할 수 있다. 농기구에는 괭이(角鋤)·뒤지개·낫(鎌) 등이 있고 공구에는 첨두기(尖頭器)·끌·칼·예새(璉)·바늘·소형 칼자루(刀子柄) 등이 있다. 무기로는 창·칼·화살촉 등이 있고 어구로는 작살·낚시·홀치개 등이 있으며‚ 골각기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장신구는 모두 소형으로 짐승 뼈를 길쭉하거나 둥글게 간 뒤 한 쪽 끝에 구멍을 낸 것과‚ 짐승 이의 뿌리 끝에 구멍을 뚫어 그냥 사용한 것 등이 있다. 뼈보다는 이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조각품은 뿔과 뼈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인데‚ 모두 20∼30㎝ 내외의 작은 것들이다. 대체로 간략하게 도식화한 것들이지만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도 여러 점이 있다. 골각기는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어로·농경·수렵 등에 많이 사용되어왔으나 청동기시대에는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해안을 생활의 중심으로 한 어로민들은 금속기가 사용된 후에도 계속 골각기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늘·삿바늘의 존재에서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된 재봉·뜨개질의 편모를 엿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오이도 안말패총에서 수습되었다. 끝이 뾰족하게 생긴 첨두기의 하나로 송곳으로 추정된다. 짐승의 다리뼈 등을 적당히 가공해 한쪽 끝을 뾰족하게 하고‚ 다른 쪽은 별로 가공하지 않은 채 그대로 손잡이로 사용했다. 이와 같은 골각기는 한반도 서해안의 신석기 유적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자료로 황해도 궁산유적에서 출토된바 있다. 이 유물은 끝이 일부 깨어졌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