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빗살무늬질그릇편

추천0 조회수 8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빗살무늬질그릇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겉면에 빗 같은 무늬새기개(施紋具)를 이용해 만든 기하학적인 무늬를 배합하여 각종 무늬를 그린 도기. <발달과정/역사> 한국의 빗살무늬도기는 그 기형‚ 시문 수법으로 보아 시베리아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즉 북유럽 일대에 번영한 캄케라믹(Kamm keramik: 櫛紋陶器)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지나 한국으로 들어왔고 그 전래경로는 먼저 연해주지방에서 한반도 북동해안으로 유입되어 동해안을 따라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빗살무늬도기와 시베리아의 빗살무늬도기는 제작방법‚ 문양의 구성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치가 연해주보다 더 오래된 연대를 나타내는 점 등을 들어 한국의 빗살무늬도기의 자생설을 주장하는 견해 또한 존재한다. 대체로 도기의 기형과 무늬를 보면 중서부지방의 문화는 시베리아 계통의 주민이 내몽골 발해만을 통해 대동강 하구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이 문화가 다시 한강으로 내려가 남부지방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남부지방은 원래 살던 돋을무늬(細線隆起紋)도기의 토착민이 중서부지방과 일본 규슈(九州)지방의 교류 속에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이며‚ 북동지방은 중국 동복지방‚ 두만강 이북의 산림지대‚ 연해주지방의 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양상을 분명히 알 수 없는 북서지방은 신암리 등의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 볼 때 요녕(遼寧) 및 길림(吉林) 지방과 같은 계열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연질(軟質) 도기편이다. 끝단이 둥글게 마무리된 구연을 지녔다. 구분계 문양구성을 보이는데‚ 구연부에는 손톱으로 찍어 눌러서 문양을 시문한 조문(爪紋)이 3조(條)보이고‚ 그 아래로 공간을 두고 내려와 종구어골문(縱走魚骨紋)을 촘촘히 시문하였다. 상단·중단·하단에 각각 하나씩 총 3개의 용도미상의 구멍이 보인다. 이 구멍은 지름이 대략 1㎝내외이며 위에서 아래로 뚫어 내려갔다. 이 구멍이 수리공이라는 설이 있으나 그 용도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윤용이‚《우리의 옛 질그릇》‚대원사‚ 1999.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선·원사 토기》‚ 199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