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접시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순백색의 자토(瓷土) 위에 투명한 유약(釉藥)을 씌워서 번조(燔造)한 자기. <발달과정/역사> 백자의 제작은 고려부터 청자와 함께 만들어져 그 수법이 조선으로 이어져 자기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고려의 백자는 단단하지 못한 연질백자 계통으로 제작되었으나 14세기 종반이 되면 원(元)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도 백토가 산출되는 곳을 발견하여 경질의 백자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명(明)이 은(銀)의 무리한 조공요구에서 벗어나고‚ 질적으로 하락한 청자를 대신하며 당시 위정자들의 취향을 반영할 만한 순백의 백자에 대한 수요는 조선에서도 중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경질백자(硬質白瓷)를 만들어 낸다. 식기로서 접시는 수(隋) 나라 부터 당(唐) 나라 때에 걸쳐 은제(銀製)로 만들어졌다. 한편으로는 삼채(三彩)로도 등장하는데‚ 그 시기부터 도자제(陶磁製)가 주류를 이루기 시작했으며 송(宋)나라 때에 이르러 기형이 완성되었다. 한국의 경우‚ 고배형(高杯型) 그릇에서 접시의 초기 형태를 찾아볼 수 있고‚ 고려 때에는 청자로 접시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분청자와 백자가 접시로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제9호 석곽묘(石槨墓)에서 출토되었다. 저부에서 곡선상으로 벌어지다가 구연하단에서 약간 축약되고 다시 외반하는 구연부를 지녔다. 내저면은 둥글고 내측면과의 경계에 1조(條)의 음각선을 돌렸으며 외면에 면(面)지게 깎아 정면(整面)한 회전골이 나타나있다. 낮은 굽은 그 깎음새가 고르지 못하여 접지면의 폭이 일정치 않고‚ 접지면과 굽 안쪽 바닥면에 모래가 섞인 내화토 받침 자국이 남아있다. 접시 전면을 백회색의 유약으로 시유하였으나 그 상태가 고르지 못하다. 구연부 일부가 파손되었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 좌항리 고려분묘군 발굴조사보고서》‚ 1994.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