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검여 유희강 횡서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검여 유희강 횡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1911∼1976. 서예가이다. 인천출신으로 호는 검여(劍?)·소완재주인(蘇阮齋主人)·시계외사(柴溪?史)·불함도인(不咸道人)·몽학선관주인(?鶴仙館主人) 등이 있다. 가학으로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발달과정/역사> 1937년 명륜전문학원을 졸업한 뒤 북경에 가서 서화 및 금석학을 배웠다. 1946년 귀국한 뒤 인천시립박물관장·인천시립도서관장 등을 역임하고‚ 인천교육대학 강사로 활동하다가‚ 1962년 서울 관훈동에 검여서원(劍?書院)을 열어 서예연구와 후학지도에 힘썼으며‚ 홍익대학교 등에 출강하였다. 1968년 뇌출혈로 인한 오른쪽 반신마비를 극복하고 왼손으로 연구를 계속하여 인간승리의 극적인 일화를 남겼다. 1953년 제2회 국전에 입선‚ 제4회에 특선하고‚ 제5·6회 문교부장관상을 받은 이래 추천작가·초대작가·심사위원을 지냈으며‚ 1959년 제1회 개인전을 비롯한 6회의 개인전과 한국서예가협회장을 역임하는 등 현대서예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글씨는 전·예·해·행서에 두루 능하였고‚ 초서는 그다지 즐기지 않았으며‚ 전각과 그림에도 능하였다. 전·예서는 등석여(鄧石?)를 토대로 하였으며‚ 해·행서는 처음에는 황정견(黃庭堅)과 유용(劉鏞)을 섭렵하다가 차차 북위서(北魏書)를 가미하여 웅혼(雄渾)한 기운이 담긴 서풍을 이루었다. 금석문으로 경기도 안산시의 〈성호이익비명(星湖李瀷碑銘)〉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검여 유희강(劍? 兪熙綱)의 1960년대 작품이다. 글씨는 <근도협신(根道挾薪)>으로 뜻은 도의 근본은 기본은 땔나무를 자르는데 있다는 것으로 불을 지피기 위해서는 장작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임창순‚《한국현대서예사》‚ 통천문화사‚ 1981. 《검여류희강서예집 1·2·3》‚ 일지사‚ 1975·1977·198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