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울주천전리각석 탁본병풍

추천0 조회수 263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울주천전리각석 탁본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에 있는 선사시대 바위그림유적. <발달과정/역사> 국보 제147호. 삼국시대에 새긴 글씨도 함께 있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이 울산지역의 불교관련 유적을 조사하면서 1970년 12월 25일에 발견했다.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옛 이름은 반계)의 중간 지점에 있다. 유적 언저리에는 강가의 좁은 계곡을 따라 자연 바위벽이 가파르게 서 있는 곳이 많고 유적에서 8㎞ 떨어진 곳에 대곡리(반구대) 바위그림유적이 있다. 이곳 계곡은 울산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이며 뱃길을 따라 경주로 들어갈 수도 있어 선사시대는 물론 삼국시대에도 주요길목의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선사시대 바위그림과 신라 화랑이 남긴 글씨가 남아 있게 된 것도 그 까닭인 듯하다. 그림이 새겨진 바위는 연한 갈색 켜바위로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기 좋은 무른 암질이다. 바위 면은 높이 2.7m‚ 너비 9.5m 크기에 남북으로 길게 놓여 있으며 동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그림의 내용을 보면 바위 위쪽에는 기하무늬·동심원·회오리무늬 등과 함께 동식물·사람을 새겼고 아래쪽에는 동물·사람 및 글씨를 새긴 부분이 있다. 기하무늬는 마름모꼴을 여러 벌 겹쳐 그린 것‚ 반달무늬‚ 세모꼴무늬‚ 물결무늬 등을 볼 수 있다. 뱀을 닮은 짐승과 사슴을 비롯해 용이나 호랑이로 짐작되는 짐승도 보인다. 바위면이 떨어져나간 쪽이 많아 뚜렷한 모습을 알 수 없는 그림도 있다. 사람의 얼굴을 나타낸 가면도 있다. 아래쪽에는 말 탄 사람과 그를 따르는 행렬을 표현한 것을 비롯해 신라 화랑들이 새겨놓은 이름·간지·관명 등의 글씨가 있어 신라 금석문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바위그림의 연대는 그림내용의 추상성과 새긴 수법으로 보아 대체로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남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에 이르는 암각화로 경상남도 울산시 언양면 천전리에 있다. 바위그림은 2km 아래의 대곡리 반구대 암벽과 이어지는 급경사의 높은 암벽 맞은편의 능선 자락 아래에 병풍처럼 펼쳐진 장방형의 대형 암면과 북쪽으로 이어진 여러 개의 바위 가운데 4개의 암면에 새겨져 있다. 대형암면의 너비‚ 높이는 9.5x2.7m인데‚ 이어진 암면들은 너비와 높이가 1-2.5m 내외이다. 무늬의 내용과 기법을 보면 짐승과 사람은 대부분 면 쪼으기로‚ 기하무늬는 선 쪼으기‚ 기마행렬‚ 배‚ 상상 속의 동물은 한자명문과 함께 가는 선긋기로 표현되었다. 그림의 배치를 보면 기하문과 명문이 가운데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그림이 배치되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동물문과 기하학문이 주로 표현된 윗부분과 선긋기 그림과 명문으로 구성된 아랫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기하문의 제작 시기는 신석기시대 중기에서 청동기시대까지로 보고 있으며‚ 기하학무늬류만 청동기시대의 농경사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는 선으로 그어진 후기의 그림들은 바위면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말이나 사슴으로 추정되는 짐승들‚ 기마행렬‚ 배 그림 등이 뒤섞여 있는데‚ 인물그림에는 말을 끌고 가는 인물‚ 기마 인물‚ 치마를 입은 인물‚ 그리고 가죽신과 같은 것을 신고 있는 것과 같은 귀족 신분으로 보이는 인물 등이 있다. 신라시대 서석에서는 영랑‚ 수품‚ 흠순‚ 호세 등 문헌기록에 나오는 인명들도 상당수 확인된다. 특히 랑의 어미를 가진 인명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자체에서 화랑이란 명문이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이 지역이 신라의 화랑들과 일정한 관련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