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접시편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접시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고려시대에 초기청자 요지(窯址)에서 만들어진 기물의 접시편(片) 이다. 접시는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의 총칭으로 음식을 담거나 다른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던 기물을 일컫는다. <발달과정/역사> 고려시대의 자기(瓷器)의 생산은 고려 초기에 청자의 제작과 함께 시도 되었다. 그 가마터는 주로 우리나라 경기도 일원에서 발견되어 초기요업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고려 초기에 제작된 청자나 백자의 유색은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기술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 유약 가운데 미량의 철분이 환원염(還元焰)에 의해 구워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용인 서리 가마터는 이미 60년대에 해무리굽이 조사되었고 1980년대 이후 수차례의 지표조사를 통해 초기 고려가마터로 그 중요성이 학계에 널리 인식되어 온 유적이다. 유적 아래에 있는 큰 요사 3채 및 새마을 도로의 건설로 인한 유적의 훼손우려가 있어 호암미술관에 의해 학술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가마터의 퇴적구는 산 능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주로 갑발들로 채워져 있고 자기편 및 요 폐기물 등이 소량 혼재되어 있었다. 퇴적구는 자연 능선을 이용하였으며 가운데가 움푹하고 양옆이 봉우리를 이루는 형태로‚ 전체 퇴적구의 폭은 50여m이고 길이는 80m‚ 높이 5∼6m에 달하는 대규모 가마터이다. 퇴적층에서 가마유구와 백자‚ 청자‚ 도기편‚ 갑발‚ 갑발받침‚ 가마벽편 등의 유물 및 그 작업과 관계있는 건물지가 조사되었다. 가마는 퇴적구의 양쪽 사이에서 발견되었는데‚ 최하층의 벽돌가마는 길이 약 40m‚ 폭 1.2m로 7×15×32cm에 달하는 장방형의 벽돌을 사용하였고‚ 그 위의 진흙가마는 길이 83m‚ 폭 1.2m로 진흙과 갑발을 사용해 가마를 축조하였다. 출토유물은 많은 양의 해무리굽 접시를 비롯해‚ 접시‚ 발‚ 합‚ 대합‚ 광구병‚ 탁잔‚ 장고‚ 제기 등이다. 백자의 태토(胎土)는 백색의 고운 것과 입자가 거친 것이 있으며‚ 담청(?靑)을 머금은 백자류에 내화토(耐火土)받침으로 받쳐 구워졌다. 제1차 발굴조사에서 밝혀진 용인 서리가마터의 자기편들은 주로 굽형태의 분석에 의해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I유형은 해무리굽 완류를 비롯한 고려기명을 제작하던 핵심가마로서 서리가마가 나타내는 사회‚ 경제적 비중이 높았던 시기의 제품들이다. II유형은 전반적으로 제품의 질이 저하되었으나‚ 아직 넓은 지역을 그 수요 배경으로 한 지방가마로서의 서리가마의 요업형태의 산물이며‚ III유형은 더욱 조질화(粗質化)되고‚ 그 제품 또한 일상명기 (日常皿器)가 거의 전부인 작은 지역의 주민들을 수요 배경으로 한 지역 가마로서의 요업형태의 산물로 볼 수 있다. 3차에 걸쳐 학술발굴 조사된 이 가마터는 고려시대 초기 백자 가마터로서의 중요성과‚ 6m에 달하는 잘 남아있는 퇴적구와 벽돌가마‚ 진흙가마의 존재‚ 다양한 기형의 백자편 등으로 고려백자의 기원과 발전을 이해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가마터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경기도 용인시 서리요지에서 수습된 유물이다. 기물의 두께는 약 0.3cm로 저부에서 각이 져 수평으로 뻗은 접시의 형태의 저부편이다. 굽의 접지면의 폭이 매우 좁고‚ 두께가 일정치 않은 내경하는 다리굽이다. 굽지름과 내저면에는 내화토의 받침의 흔적이 보인다. 태토는 백색이고 유색은 암녹색이나 약간의 선홍색이 돈다. <참고문헌> 정양모‚《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김재열‚ <용인 서리 고려백자요지 발굴조사 내용 및 의의>‚《고려시대의 용인》‚ 학연문화사‚ 1998.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자기발생에 관한 제문제》‚ <용인초기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 1990. 호암미술관‚《용인서리고려백자요 발굴조사보고서Ⅰ》‚ 삼성미술문화재단‚ 1987. 김재열·박순발 외‚《삼불 금원용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Ⅱ》‚ <용인 고려백자요의 요업변천에 대한 시고>‚ 일지사‚ 1987. 해강도자미술관‚《벽돌가마와 초기청자》‚ 해강도자미술관‚ 2000. 이종민‚ <고려초기청자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