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영청자편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영청자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송대에 오면서 경덕진의 백자에 청자빛이 아른거리는 독특한 유색을 창출하는데 영청(影靑)이라고 칭하였고‚ 청백자라고도 불린다. <발달과정/역사> 경덕진(景德鎭‚ Jingdezhen)은 중국 최대의 요지(窯址)로 안휘성(安徽省)과의 경계에 위치한다. 옛날에는 시장도시였다. 송(宋)의 경덕연간(景德年間:11세기)에 시진(市鎭)이 설치되었고‚ 중국 4대진(?鎭)의 하나로 알려져 졌다. 부근에 도토(陶土)가 많아 한(漢) 때부터 도자기를 굽기 시작하여 남조(南朝)의 진(陳) 때부터 도자기를 본격적으로 생산하였고‚ 송(宋) 때에 생긴 경덕진요(景德鎭窯)에서 나는 도자기는 공품(貢品)으로 유명하였다. 송대에 그 명성이 알려지기 시작하여 원대(元代)에 이르러 서는 영청자(影靑瓷)와 청화백자(靑畵白瓷)를 만들어 중국을 대표하는 요지가 되었으며‚ 명 청대에까지 독보적인 위치로 다양한 자기를 생산하여 유명한 곳이다. 명(明)의 선덕연간(宣德年間)에 어요(御窯)가 건조되면서 도자기의 생산이 활발해졌는데‚ 주로 생활용품‚ 미술제품과 건축용품으로 유명하다. 현재 북방의 푸량(?梁)‚ 남쪽의 러핑(樂平) 등지에서 양질의 자토(瓷土)가 생산되고 부근에서 유약의 원료도 산출되어 도자기 제작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주민은 대부분이 도자기 생산에 종사하고 있으며 종래의 고급품 제작 외에 대량생산도 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중국의 경덕진에서 수습된 유물이다. 송대에 오면서 경덕진의 백자에 청자 빛이 아른거리는 독특한 유색을 창출하는데 영청(影靑)이라고 칭하였고‚ 청백자라고도 불린다. 푸른빛이 도는 구연부의 파편으로 두께가 몹시 얇고‚ 테두리는 시유되지 않았다. 북송을 지나면서 중국의 소성기술의 현저한 발달을 이루었는데‚ 북송 중기부터 대량의 기물을 소성하기 위해 창안된 복소법(覆燒法)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복소법의 장점은 층계식으로 기물을 배열하여 많은 기물을 한꺼번에 소성할 수 있다는 점과 소성시 기물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래 얇은 기물의 아가리 부분은 소성(燒成) 중에 틀어지거나 모양이 변하는 것을 피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정양모‚《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마가렛 메들리‚ 김영원 역《중국도자사》‚ 열화당‚ 1986. 이용욱‚《중국도자사》‚ 미진사‚ 1993. 황종례‚ 유성웅‚《세계도자사 ⅠⅡ》‚ 한국색채문화사‚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