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제기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 중 과일이나 찬 등의 음식을 담는 접시 종류의 제기. <발달과정/역사> 제기는 용도에 따라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제기‚ 제물이나 제찬과 같은 제수(祭需)를 담는 제기‚ 그리고 그 밖의 것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공제례와 사사제례의 제기의 차이도 그 형태와 제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제기의 종류> 제기에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향로(香爐): 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이다. (2) 향합(香盒) : 향을 담는 그릇으로 사기‚ 놋쇠‚ 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3) 모사기(茅沙器) : 모사를 담는 그릇으로 보시기 같이 생겼으며 굽이 아주 높다. (4) 주독(主犢) : 신주를 모시는 독이다. (5) 신주(神主) : 위패로 고인의 위를 모시는 나무패‚ 대개 밤나무로 만들되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 가량이다. 나무 대신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紙榜)이라고도 한다. (6) 변(邊) : 실과와 건육을 담는 제기로 원래는 대나무로 굽을 높게 엮어서 만들었다. (7) 두(豆) : 김치‚ 젓갈을 담는 제기로 굽이 높고 뚜껑이 있다. (8) 병대(餠臺) : 떡을 담는 제기로 위판은 사각형이다. (9) 탕기(湯器) : 국을 담는 그릇으로 여러 가지 크기의 것이 있다. (10) 시접 : 수저를 올려놓는 제기로 대접 비슷하게 생겼다. 앞서 수저로 이 시접을 세번 가볍게 두드려 신령에게 고했다. (11) 조(俎) : 고기를 담는 그릇으로 나무로 만들며 발이 달렸음 (12) 적대(炙臺) : 편대로 적을 올리는 그릇인데 발이 달렸고 원래는 나무로 만들었다. 이 밖에 제물을 담는 제기로는 모혈을 담아서 제상에 올리는 모혈반(毛血槃)이 있다. 그리고 정(鼎)이라고 하여 소·양·돼지의 고기를 끓이는 세발 달린 제기가 있으며‚ 다리가 달리지 않은 부(斧)와 확(?)이 있다. 이것들은 제물을 요리하는 데 쓰이는 제기들이다. 다음에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작(爵)·계이(鷄彛)·조이(鳥彛)·가이(?彛)·황이(黃彛)·희준(犧?)·상준(象?)·산뢰(山?)·착준(著?)·호준(壺?)·용찬(龍瓚) 등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작과 산뢰는 4계절 모두 쓰이나‚ 계이·조이·희준·상준은 봄과 여름의 제사에만‚ 가이·황이·착준·호준은 가을과 겨울의 제사에만 사용된다. 제수를 담는 제기‚ 물과 술을 담는 제기 외에도 등잔·촛대·향로·향합·축점(祝?:축문을 올려놓는 잔)·관지통(灌地筒:5첩으로 된 통으로‚ 제사 처음에 울창을 용찬에 따라 땅에 부을 때 사용하는 제기)·비(?:대나무로 만든 광주리로‚ 폐백을 담는 데 쓰임.)·필(畢:고기를 집어 올리는 데 쓰이는 집게처럼 생긴 도구로서‚ 가시나무로 만듦.)·비(匕:가시나무로 만든 숟가락)·난도(鸞刀:희생을 잡을 때 사용하는 칼로‚ 자루에 방울 세 개‚ 칼등에 방울 두 개가 달려 있다)·용작(龍勺:술을 떠서 부을 때 사용하는 도구) 등의 제기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접시 끝은 살짝 내만하고 그 끝을 살짝 단이 지게 마무리하였고 내저면 가운데가 약간 오목하다. 높이 7.2cm의 굽은 사선으로 벌어져 있으며 굽 안 바닥 전체를 시유한 후 접지면(接地面)에 내화토를 물에 섞어 발라 받쳐 번조하였다. 유색은 청백색으로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문양은 없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