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철화문상준

추천0 조회수 9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철화문상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담는 그릇. <발달과정/역사> 제기는 용도에 따라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제기‚ 제물이나 제찬과 같은 제수(祭需)를 담는 제기‚ 그리고 그 밖의 것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공제례와 사사제례의 제기의 차이도 그 형태와 제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제기의 종류> 제기에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향로(香爐): 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이다. (2) 향합(香盒) : 향을 담는 그릇으로 사기‚ 놋쇠‚ 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3) 모사기(茅沙器) : 모사를 담는 그릇으로 보시기 같이 생겼으며 굽이 아주 높다. (4) 주독(主犢) : 신주를 모시는 독이다. (5) 신주(神主) : 위패로 고인의 위를 모시는 나무패‚ 대개 밤나무로 만들되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 가량이다. 나무 대신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紙榜)이라고도 한다. (6) 변(邊) : 실과와 건육을 담는 제기로 원래는 대나무로 굽을 높게 엮어서 만들었다. (7) 두(豆) : 김치‚ 젓갈을 담는 제기로 굽이 높고 뚜껑이 있다. (8) 병대(餠臺) : 떡을 담는 제기로 위판은 사각형이다. (9) 탕기(湯器) : 국을 담는 그릇으로 여러 가지 크기의 것이 있다. (10) 시접 : 수저를 올려놓는 제기로 대접 비슷하게 생겼다. 앞서 수저로 이 시접을 세번 가볍게 두드려 신령에게 고했다. (11) 조(俎) : 고기를 담는 그릇으로 나무로 만들며 발이 달렸음 (12) 적대(炙臺) : 편대로 적을 올리는 그릇인데 발이 달렸고 원래는 나무로 만들었다. 이 밖에 제물을 담는 제기로는 모혈을 담아서 제상에 올리는 모혈반(毛血槃)이 있다. 그리고 정(鼎)이라고 하여 소·양·돼지의 고기를 끓이는 세발 달린 제기가 있으며‚ 다리가 달리지 않은 부(斧)와 확(?)이 있다. 이것들은 제물을 요리하는 데 쓰이는 제기들이다. 다음에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작(爵)·계이(鷄彛)·조이(鳥彛)·가이(?彛)·황이(黃彛)·희준(犧?)·상준(象?)·산뢰(山?)·착준(著?)·호준(壺?)·용찬(龍瓚) 등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작과 산뢰는 4계절 모두 쓰이나‚ 계이·조이·희준·상준은 봄과 여름의 제사에만‚ 가이·황이·착준·호준은 가을과 겨울의 제사에만 사용된다. 제수를 담는 제기‚ 물과 술을 담는 제기 외에도 등잔·촛대·향로·향합·축점(祝?:축문을 올려놓는 잔)·관지통(灌地筒:5첩으로 된 통으로‚ 제사 처음에 울창을 용찬에 따라 땅에 부을 때 사용하는 제기)·비(?:대나무로 만든 광주리로‚ 폐백을 담는 데 쓰임.)·필(畢:고기를 집어 올리는 데 쓰이는 집게처럼 생긴 도구로서‚ 가시나무로 만듦.)·비(匕:가시나무로 만든 숟가락)·난도(鸞刀:희생을 잡을 때 사용하는 칼로‚ 자루에 방울 세 개‚ 칼등에 방울 두 개가 달려 있다)·용작(龍勺:술을 떠서 부을 때 사용하는 도구) 등의 제기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상준은 코끼리 모양을 한 잔으로 되어 있거나‚ 같은 모양의 잔 받침대 위에 잔을 올려놓도록 만들어진 제기인데‚ 잔에는 뚜껑을 덮게 되어 있다. 상준에는 명수와 앙재(막걸리·埋酒(매주)라고도 한다)를 담는다. 짧은 다리에 몸통이 큰 백자상준이다. 병을 만드는 과정에 목을 막아 코끼리 머리를 만들고 주둥이를 길게 잡아 늘여 코끼리의 특징인 코를 강조하였다. 등에 장축 길이 11.3cm의 장타원형 구멍을 뚫어 술을 담도록 했다. 기벽은 1.1cm로 두껍고 회백색 태토는 정선되어 유물이 무겁다. 머리에 고리처럼 말린 조그마한 귀를 양쪽에 붙였다. 눈은 음각으로 자리를 내고 그 위에 철화안료를 거칠게 찍어 발라 두개의 동심원을 그려서 마무리하였다. 철화안료를 이용하여 한쪽에서만 보이도록 치우쳐서 한 줄로 그어낸 입의 표현이 무언가를 씹어 먹는 듯도 하고 입 꼬리를 살짝 올려 웃는 듯도 하여 재미나다. 다리는 동체 쪽은 두툼하나 종아리는 가늘게 제작하였고 납작한 엉덩이에는 흙 띠를 잘라 붙여 꼬리를 표현하였다. 동체에 간격을 두고 철화선을 빠르게 2줄 시문하였다. 여러 잔편을 복원하였으며 청백색 유약이 시유되었다. 다리의 접지면 가운데에 세로로 홈을 파놓았다. 모래를 받쳐 번조(燔造)한 흔적이 보인다. <참고문헌> 문화재관리국‚《종묘제기》‚ 1976. 궁중유물전시관‚《종묘대제문물》‚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