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자인화국화문발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인화국화문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래는 좁고 위는 넓게 만들어 국이나 밥을 담는데 쓰이는 그릇이다. <발달과정/역사> 분청사기란 말은 1930년대 고유섭(高裕燮:1904-1944)이 당시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미시마(三島)’란 용어에 대하여 새롭게 지은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약칭(略稱)이다. 조선왕조의 기반이 확립되는 세종연간(1419-1450)을 전후하여 그릇의 질(質)이나 형태 및 무늬의 종류‚ 무늬를 넣는 기법 등이 발전‚ 세련되어 그 절정을 이루게 되었으며‚ 조선 도자공예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15세기 후반부터 경기 광주 일대에 백자(白瓷)를 생산하는 관요(官窯)가 운영되면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의 공급은 광주분원(廣州分院)에서 맡게 되자 관장제수공업체(官匠制手工業體)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 분청자의 생산은 점점 소규모가 되면서 민간용을 주로 생산하게 되었다. 더욱이 중앙관요의 영향이 지방으로 파급되면서 백자의 생산이 계속 증가되었으며‚ 16세기 중엽 이후에는 분청자의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백자만이 남아 조선시대 도자기의 주류가 되었다. 분청자는 그릇 표면에 백토를 분장하는 방식에 따라 상감(象嵌)‚ 인화(印畵)‚ 조화(彫畵)‚ 박지(剝地)‚ 철화(鐵畵)‚ 귀얄‚ 담금(덤벙) 분청으로 구분하는데‚ 상감과 인화기법은 발생초기에 주로 사용되었다. 분청자의 특징은 청자나 백자에서는 볼 수 없는 자유분방하고 활력에 넘치는 실용적인 형태와 다양한 분장기법(粉粧技法)‚ 그리고 의미와 특성을 살리면서도 때로는 대담하게 생략‚ 변형시켜 재구성한 무늬라 할 수 있다. 또한 지방마다 특색이 있게 전개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굽에서 곡선으로 벌어지다가 구연에서 외반(?反)하는 대접으로 외면에는 상감문대(象嵌紋帶)와 사선문(斜線紋)을 음각한 위에 백토로 분장하여 긁어낸 수법으로 시문하였다. 내면에는 상감선대를 3줄 돌려 공간을 구획하고‚ 위에서부터 초문(草紋)과 국화문(菊花紋) 및 연판문대(蓮瓣紋帶)를 시문하였으며‚ 내저면(內底面)에는 국화문과 잎을 시문하였다. 회백색의 분청유약이 얇게 시유되었고‚ 굽은 좁은 편으로 접지면(接地面)에 내화토를 받쳐 구운 흔적이 보인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강경숙‚《분청사기연구》‚ 일지사‚ 1986. 호암미술관‚《분청사기 명품전》Ⅱ‚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