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명기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명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죽은 사람의 영혼이 내세에도 평안하기를 바라며 무덤에 부장(副葬)하기 위하여 만든 도기‚ 자기 등의 기물(器物)이다. <발달과정 / 역사> 귀기(鬼器)‚ 가기(假器)라고도 한다. 명기란 신명(神明)의 기(器)라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죽은 후의 세계에서 사용할 생활용구를 사자(死者)와 함께 분묘에 넣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무덤 속에 넣기 때문에 주로 흙을 구워 만들었다. 죽은 자가 생전에 사용한 기구‚ 인물‚ 동물 등을 모조한 것들이다. 조선시대에는 실생활용 도자기 대신에 따로 작게 만든 그릇을 명기로 사용하였다. 사발‚ 접시‚ 합‚ 병‚ 항아리‚ 대야 등의 그릇과 함께 주인의 남녀 종‚ 그리고 말이나 가마 등이 주로 무덤에 넣어졌다. 이러한 명기는 어린이들의 소꿉장난감과 같은 느낌을 주지만‚ 죽은 사람에 대해 기록한 묘지(墓誌)와 함께 넣어지기 때문에 당시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모두 11점으로 이루어진 백자 명기이다. 대접 3점‚ 발 1점과 받침 1점‚ 세(?) 1점과 받침 1점‚ 호형(壺形) 항아리 1점‚ 전이 넓은 항아리 1점‚ 보주형 뚜껑 2점으로 구성되었다. 기물을 축소시킨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굽의 모양새나 형태의 곡선미가 각 기형별 특징을 살리고 있다. 대부분 규석이 섞인 모래를 두껍게 받쳐 번조하였으며 유색은 회백색이 주를 이룬다. 굽은 평저굽으로 특별히 깎거나 정면하지 않았다. 잡물이 내려앉은 경우가 더러 있고‚ 대접 하나는 한 쪽이 결실 되었다. 마무리가 깔끔하지는 못하나 죽은 자의 풍요로운 생활을 기원하기 위해 기종별로 다양하게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김원룡‚《한국고미술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1981. 渚川巧‚ 정명호 역‚《조선도자명고》‚ 경인문화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방병선‚《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영남대학교박물관‚《권수와 권경남부자묘의 조사보고서》‚ 2000.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