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청화초화문접시

추천0 조회수 10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청화초화문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접시는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의 총칭으로 음식을 담거나 다른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백자는 그 위에 어떤 안료로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서 순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동화백자 등의 종류로 분류하며 백색에 따라서 청백자‚ 순백자‚ 유백자‚ 난백자 그리고 회백자 등으로 나눈다. 순백자의 소지에 투명유를 바른 것이 이상적이나‚ 소지가 회색인 경우와 유가청 또는 황색인 경우는 철분의 작용으로 미묘한 변화가 일어난다. 백자의 유색(釉色)은 어느 지방의 백토인가에 따라 좌우되며 유약(釉藥)‚ 소성(燒成) 분위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대체로 15세기 백자는 유백색이며‚ 16세기 백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세기에서 19세기에는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계통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4세기에서 17세기 중엽의 백자는 원만하고 유연한 기형이 중심을 이루며‚ 상품(上品)의 백자는 갑발(匣鉢)에 넣고 번조되어 티 하나 없이 깨끗하다. 유약에는 거의 빙렬(氷裂)이 없고 약간의 푸른기를 머금고 있다. 17세기 중엽에서 18세기 중엽의 백자는 유약에 아주 미량의 철분이 들어 있어 전 시기보다 더 담담한 푸른기가 돌며 태토는 순백이다.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고 재티가 녹아 담청‚ 담록의 작은 요점(凹占)이 있는 것도 있다. 이 시기부터 간결하고 굽이 높은 백자제기(白瓷祭器)가 생산되었으며 문방구(文房具)의 다양한 종류의 생산이 주목할 만하다. 18세기 중엽에서 조선 말기까지의 백자는 태토가 순백이며 문방구를 제외한 다른 그릇들은 기벽(器壁)이 두꺼워지고 유약도 두꺼워진다. 백자의 종류에는 순백자(純白瓷)‚ 백자상감(白瓷象嵌)‚ 백자청화(白瓷靑畵)‚ 백자철화(白瓷鐵畵)‚ 백자동화(白瓷銅畵)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매우 넓으면서 낮은 접시로 구연은 외반(?反)한다. 내면의 외곽에 한 줄의 청화선(靑畵線)으로 테를 돌렸다. 내면의 중앙에는 지름 9.2㎝의 원(圓)을 긋고 그 안에 ‘복(福)’ 자를 써 넣었다. 그 바깥으로 위아래에 2개씩 커다란 잎을 가진 해바라기 같은 꽃을 그려 넣고 ‘수(壽)’ 자를 대칭되게 그려 넣었다. 밖으로 살짝 벌어지는 굽의 중간에 한 줄의 청화선을 돌렸다. 접지면(接地面)은 좁고 모래가 붙어 있다. 전체적인 색조는 푸른빛이 도는 백색으로 전면에 빙렬(氷裂)이 보인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