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자인화문접시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인화문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분청자에 일정한 문양도장을 가지고 압인(押印)하는 기법으로 장식한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의 총칭으로 음식을 담거나 다른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기에서 출토되고 있는 고배(高杯)가 오늘날의 접시의 기원으로 추측된다. 상고시대의 고배형의 그릇은 차차 굽이 없어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로 접시를 만들었다. 이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했는데‚ 이를 통해 원래는 뚜껑이 없는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접시란 명칭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양요리용 접시를 접시라고 지칭하지만 그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하였다. 즉‚ 뚜껑이 없이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접시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분청자기와 백자가 접시로 사용되었다. 분청사기란 말은 1930년대 고유섭(高裕燮:1904 - 1944)이 당시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미시마(三島)’ 라는 용어에 반대하여 새롭게 지은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 의 약칭(略稱)이다. 퇴락한 상감청자(象嵌靑瓷)에 연원을 두고 14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왕조의 기반이 닦이는 세종연간(1419-1450) 전후에 그릇의 질(質)이나 형태 및 무늬의 종류‚ 무늬를 넣는 기법(施文技法) 등이 크게 발전 ·세련되어 절정을 이루며 조선 도자공예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15세기 후반부터 경기 광주 일대에 백자(白瓷)를 생산하는 관요(官窯)가 운영되면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의 공급을 광주분원(廣州分院)에서 맡게 되자 관장제수공업체(官匠制手工業體)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 분청사기의 생산은 점점 소규모화 되었고‚ 민간용을 주로 생산하게 되었다. 중앙관요의 영향이 지방으로 한층 파급되면서 백자의 생산이 계속 증가되자 16세기 중엽 이후에는 분청사기의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백자가 조선시대 도자기의 주류가 되었다. 분청자는 그릇 표면에 백토를 분장하는 방식에 따라 상감(象嵌)‚ 인화(印花)‚ 조화(彫花)‚ 박지(剝地)‚ 철화(鐵畵)‚ 귀얄‚ 담금(덤벙) 분청으로 구분되는 데‚ 상감과 인화기법은 발생초기에 주로 사용되었다. 분청자의 특징은 청자나 백자에서는 볼 수 없는 자유분방하고 활력이 넘치는 실용적인 형태와 다양한 분장기법(粉粧技法)‚ 그리고 의미와 특성을 살리면서도 때로는 대담하게 생략‚ 변형시켜 재구성한 무늬에 있다. 이러한 특징은 지방마다 독특하게 전개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낮고 작은 접시로 구연은 외반(?反)하고 끝은 둥글고 두툼하게 처리되었다. 외면에는 여러 개의 백상감선(白象嵌線)이 돌려졌다. 내면은 인화문(印畵紋)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데 여러 개의 백상감선을 돌려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을 도넛처럼 안이 빈 점열문(點列紋)을 빼곡하게 찍어 놓았다. 내저면(內底面)의 중앙에는 화문(花紋)이 보인다. 가운데 국화문 같은 꽃술을 은행잎 같은 5개의 꽃잎이 둘러싸고 있어서 전체적인 모양이 배꽃(李花)을 연상시킨다. 접지면(接地面)의 폭이 비대칭을 이루고 있고 내화토 받침이 보인다. <참고문헌> 渚川巧‚ 정명호 역‚《조선도자명고》‚ 경인문화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