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녹청자광구병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녹청자광구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일반적으로 광구병은 병의 몸체에서 목이 길어지고 입이 넓어진 경우를 말한다. <발달과정/역사> 녹청자는 일종의 조질청자(粗質靑瓷)로 일반 청자와는 달리 환원번조법이 아닌 산화번조법으로 굽는 것이 특징이다. 태토에는 보통 가는 모래 등의 잡물이 섞여 있거나 기포로 인하여 번조과정에서 그릇 표면에 굴곡이 지는 예가 많다. 또 유약 또한 얇고 고르지 못하게 시유되는 경우도 많다. 주로 인천 경서동‚ 해남 진산리 등의 해안가에 요지가 분포하며 양질의 청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계층의 수요를 위하여 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형(器形)은 대체로 대접 ·접시 ·항아리 ·병 등으로 점토가 섞인 내화토 받침을 4∼5개소에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광구병의 목의 길이는 차이가 있으며 초기에는 대체로 장경(長頸)의 형태이나 점차 짧아져 몸체와 접하여 매병(梅甁)의 형태로 변화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턱지며 올라간 넓은 구연은 약간 외반하고 긴 목은 내려오면서 벌어지며 동체의 최대복경(最?腹徑)을 상단에 두고 있는 광구병(廣口甁)이다. 동체의 한쪽 기벽(器壁)은 중간부분부터 하단까지 금이 가서 갈라졌다. 굽은 살짝 안으로 들어간 평저이며 바닥에 모래 받침 번조(燔造) 자국이 남아있다. 전면(全面)에는 물레흔이 보이고 암청색의 청자유약이 시유되었으나 그 시유 상태는 고르지 못하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연세대학교박물관‚《고려시대질그릇》‚ 1991.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