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발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래는 좁고 위는 넓게 만들어 국이나 밥을 담는데 쓰이는 그릇이다. <발달과정/역사> 신석기시대 빗살무늬질그릇 중 발형도기(鉢形陶器)에서 현재 사용하는 발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이 형태는 고려‚ 조선시대의 청자‚ 백자 작품에 이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비슷한 기형으로서 높이가 입지름보다 긴 것은 심발(渙鉢)이라 부르며‚ 발(鉢)보다 작은 것은 완(碗) 등으로 지칭한다. 발(鉢)은 대접보다 운두가 높고 구연은 살짝 외반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의 경우 14세기 전반부터 많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350-60년대로 편년되는 무안 도리포 유적에서 한 점의 발(鉢)이 발굴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고려 말의 백자들은 조선시대로 이어져 더욱 다양하게 발전한다. 우리나라의 백자의 제작은 고려시대 청자와 함께 만들어져 그 수법이 조선으로 이어지면서 자기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고려의 백자는 단단하지 못한 연질백자 계통으로 제작되었으나‚ 14세기 후반이 되면 원(元) 나라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도 백토가 산출되는 곳을 발견되었고 경질의 백자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명(明)의 무리한 은(銀) 조공요구와 질적으로 하락한 청자를 대신하는 백자의 발전을 자극시켰다. 당시 위정자들의 취향을 반영할 만한 순백의 백자에 대한 수요는 조선에서도 중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경질백자(硬質白瓷)를 만들어 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아래가 좁고 위는 넓게 벌어진 내경하는 굽이 달려 있다. 구연부는 외반되고 운두가 높은 형태로 내저면에 다른 그릇과 겹쳐서 번조하는 과정에서 생긴 원형의 모래 받침 흔적이 나타난다. 외면에 물레흔이 보이고‚ 가는 모래가 섞인 회청색 태토에 회백색 유약을 시유하였는데‚ 굽 전체를 시유하고 접지면에 모래가 섞인 흙물을 받쳐 번조하였다. <참고문헌> 渚川巧‚ 정명호 역‚《조선도자명고》‚ 경인문화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