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주고리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주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술을 증류할 때 쓰는 증류기. <발달과정/역사> 외지(?地)에서 전래된 소주를 일명 아라키주(亞刺吉酒)라 불렀는데‚ 이는 증류주의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페르시아에서 처음 발단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동방으로 오게 된 연유는 몽골인(蒙古人)이 페르시아의 이슬람교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증류방식에 의한 술을 함께 들여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증류주를 아랍어(語)의 아라그(Arag)를 몽골어로는 아라키(亞刺吉)라 하고 만주어로는 알키‚ 한국에서는 아락주라 하였다. 지금도 개성지방에서는 소주를 아락주라 한다. 소주가 원나라로부터 전해진 이래 그 제조가 고려 때부터 성행할 만큼 소주의 종류도 여러 가지로 사용되었다. 당시의 소주는 순수한 곡식으로 만들어서 맛이 좋았으며‚ 한편으로 그 맛이 순하고 청결하여 이를 이용하는 자가 많았는데‚ 증류주이기 때문에 값이 비쌌다고 한다. 소주 제조는 고려시대에 비롯되어 조선시대를 거치는 동안 양조 과정이나 방법에 별다른 변화‚ 발전이 없다. 가정에서 만들 때는 솥과 시루‚ 그리고 솥뚜껑을 이용하여 만들었는데‚ 이것은 가장 원시적인 제조방법이다. 다 익은 술이나 술지게미를 솥에 담고 솥뚜껑을 뒤집어 덮는데 손잡이 밑에는 주발을 놓아둔다. 솥에 불을 때면서 솥뚜껑에 바가지로 냉수를 자주 갈아 붓는다. 열을 받으면 술이나 지게미 속의 알코올분이 휘발하여 올라가다가 새어 나갈 곳이 없어 결국 솥뚜껑에 닿게 되는데‚ 기체 상태로 올라온 알코올은 솥뚜껑 밖에 있는 찬물 때문에 식어 다시 액체가 된다. 솥뚜껑에 매달린 이 액체는 솥뚜껑의 경사진 곳을 따라 흘러 마침내 손잡이에서 이슬방울처럼 똑똑 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증류기를 ‘는지’ 라 하였다. 이보다 조금 발전한 것이 ‘소주고리’ 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이 증류장치는 아래위 두 부분으로 되어 있고‚ 위층 아랫부분에 좁다란 입이 거꾸로 달렸으며‚ 시루 앉히듯 솥에 걸고 위층에 물을 부어 불을 때면 증류액이 입을 통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어 있다. 소주의 주모(酒母)를 주모량보다 용량이 큰 솥에 넣고 위에 고리를 앉힌 후 아궁이에 불을 땐다. 물은 섭씨 100℃에서 끓는 데‚ 에틸알코올은 78℃에서 끓기 때문에 물보다 먼저 에틸알코올이 기체가 되어 날아오른다. 소주고리는 지방마다 제조소가 일정하였기 때문에 용량도 일정하였다. 그러나 1916년 주세법이 공포 시행됨에 따라 소주의 제조방법이 많이 새로워졌다. 즉‚ 청주를 만들 때 쓰는 주조용 시루를 사용해서 많은 양의 지에밥을 짓고 곡자를 가루로 만들어 썼으며‚ 냉각수는 높은 곳에 설치하여 자연유수 방식을 쓰고 나무는 장작을 썼으며‚ 고리의 소주받이에는 냉각사관(冷却蛇管)을 달게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소주고리의 증류 장치는 아래 위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밑은 아래가 넓고 위가 좁으며‚ 위는 아래가 좁고 위가 넓게 벌어져서 전체적으로는 허리부분이 잘록한 모양이다. 아래 위를 분리할 수는 없고 윗부분은 위쪽이‚ 아랫부분은 아래쪽이 트였으며‚ 상부에 18cm의 경사진 주둥이가 달려 있다. 짙은 흑갈색 태토에 적갈색 약물을 입혀 번조하였다. 동체에 얕은 돌대를 여러 줄을 돌리고 그 사이를 손그림으로 어지럽게 채웠다. 증류 작업을 할 때는 솥 안에 술을 담고 솥 위에 시루 앉히듯 고리를 앉혀 둘레를 시룻번으로 바른 다음 불을 때면‚ 술이 끓고 이어서 증기가 고리 속으로 들어간다. 윗부분에 찬물을 자주 갈아 주면 밑에서 올라온 증기가 막혀 있는 부분에서 물방울이 되어 옆에 달린 주둥이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오는데‚ 이것을 `소주내리기` 라고 한다. <참고문헌> 이훈석 외‚《옹기》‚ 대원사‚ 1991. 연세대학교박물관‚《고려·조선시대 질그릇과 사기그릇》‚ 2002.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