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물형토우

추천0 조회수 4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물형토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동물이나 사람 등의 형상을 본떠서 흙으로 만들어 구운 소조품 지칭하는 말로 흙인형‚ 토우(土偶)‚ 토용(土俑)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발달과정/역사> 토용(土俑)은 토제유물(土製遺物) 중 독립된 형식의 상(像)들을 지칭하여‚ 이른바 상형토기(像形土器)와 독립된 형태의 토용(土俑)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런데 토우(土偶)는 동물이나 사람 등의 형상을 본떠서 흙으로 만들어 구운 소조품 지칭하는 말로 흙인형‚ 토우(土偶)‚ 토용(土俑)이 비슷한 의미로 혼용되고 있다. 토우는 인류가 본격적으로 예술품을 만들기 시작한 후기 구석기시대(後期舊石器時代)부터 만들어졌다. 흙 뿐 아니라 동물의 뿔이나 뼈‚ 나무‚ 드물게는 짚이나 풀 등으로 만든 것도 있으나‚ 토제(土製)가 주를 이루므로 토우라고 불린다. 토우는 동서양에서 모두 제작되었으며‚ 주로 장난감이나 애완용‚ 혹은 주술적인 행위의 대상물(偶像)‚ 껴묻거리(副葬用)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종류로는 동물이나 가옥 등 독립된 형태를 갖춘 것(異形陶器)과‚ 그릇에 장식용으로 붙어 있는 작은 토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삼국시대의 신라와 가야에서 풍부하고 다채로운 면모를 지닌 토우들이 출토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출토품이 훨씬 줄어들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마형(馬形)의 토우이다. 머리와 꼬리와 갈기로 미루어 말로 판단되며 다리는 짧고‚ 안장은 따로 만들어 얹혀 붙였다. 붉은색이 나는 점토로 빚은 후 푸른색이 도는 회백색의 유약을 시유하였다. 눈은 도구를 사용하여 안으로 찍었고‚ 귀는 따로 붙였다. 다리 하나와 꼬리는 결실되었다. 대상을 단순화하여 서툴게 표현한 맛이 나는 토우이다. 경기도(京畿道) 용인시(龍仁市) 양지리(陽智)에서 수습되었고 16세기경의 유물로 보인다. <참고문헌> 이난영‚《토우》‚ 대원사‚ 1998. 이난영‚《신라의 토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국립중앙박물관‚《한국 고대의 토기》‚ 1997.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