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홈
청동숟가락
- 저작물명
- 청동숟가락
- 저작(권)자
-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 출처
- 공표년도
- 창작년도
- 2015-01-21
- 분류(장르)
- 사진
UCI 로고
- 요약정보
- <정의> 음식을 뜨는 데 사용하는 긴 손잡이가 달린 용구. <발달과정 / 역사> 숟가락은 밥이나 죽을 주식으로 하는 지역에서 음식을 떠먹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초기에는 조개껍데기나 나무를 깎아서 사용했다. 주철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 후부터는 백통 ·놋쇠 ·금 ·은 ·스테인리스강 등이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숟가락을 사기로 만들기도 한다. 한국 숟가락의 모양은 타원형이며 약간 우묵하게 들어간 것에 자루가 달려 있다. 나뭇잎같이 생겼다 하여 잎사시라고도 하며‚ 식혜나 수정과를 떠먹는 것에 사기로 만든 사시(沙匙)라는 숟가락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숟가락은 청동기시대 유적인 나진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골제품(骨制品)이다. 중국에서는 《시경(詩經)》에 처음 기록이 나오며‚ 일본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의 유적지에서 숟가락이 출토되었다. 숟가락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삼국시대 경주 금관총(金冠塚)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둥근 몸체에 둥근 자루가 달린 형태이며‚ 공주 무령왕릉(武寧?陵)에서 출토된 숟가락 세 점은 타원형에 가까운 몸체에 평면 삼각형의 자루가 달린 형태이다. 통일신라시대 숟가락은 부여 부소산과 경주 안압지(雁鴨池) 출토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몸체가 원형이나 타원형이며‚ 자루의 단면은 반원통형‚ 사각형‚ 삼각형 등 부위에 따라 다르다. 고려시대 숟가락은 인종 장릉(仁宗 長陵)에서 발견된 은제 숟가락처럼 통일신라시대 숟가락의 형태와 유사한 것도 있지만‚ 자루를 측면에서 본 형태가 S자로 크게 휘어지거나 자루의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연미형(燕尾形) 숟가락이 크게 유행했다. 몸체는 음식을 먹기 불편할 정도로 길고 손잡이도 지나치게 휘어지는 등‚ 형식화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자루의 휘어짐이 줄어들고‚ 손잡이가 보다 두터워지며 자루 끝 부분의 장식도 사라지는 등 실용성이 강조되는 형태로 변화해갔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타원형의 몸체와 가늘고 납작한 손잡이로 구성된 청동제의 숟가락이다. 몸체는 밥을 뜨는 부분 끝이 뾰족하게 다듬어져 있으며 살짝 들여 올라있다. 손잡이 부분의 바닥은 납작하고 등은 반타원형이다. 손잡이는 끝 부분으로 갈수록 너비가 약간씩 넓어지는 형태이다. 전체적으로 아무런 장식이 없는 단순한 형태로 측면에서 보는 형태는 약간 S자형 곡선을 이룬다. 표면은 광택이 나는 흑철색이다. <참고문헌> 국립청주박물관‚《고려공예전》‚ 1999. 연세대학교 박물관‚《한국의 금속기》‚ 1984. 호암갤러리‚《대고려국보전》‚ 1995.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 저작물 파일 유형
- 저작물 속성
- 1 차 저작물
- 공동저작자
- 1유형
- 수집연계 URL
- http://www.emuseum.go.kr
- 분류(장르)
- 사진
- 원문제공
-
원문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