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젓가락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젓가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가늘고 길게 만들어 음식이나 그 밖의 물건을 집는 데 쓰는 한 벌의 막대기. <발달과정 / 역사> 숟가락과 한 벌을 이루는 식사도구의 하나인 젓가락은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에 젓가락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므로 숟가락에 비해 늦게 발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주 무령왕릉(武寧?陵)에서 숟가락과 함께 출토된 것이 가장 오래된 예로‚ 숟가락과 젓가락이 병용되기 시작한 것은 적어도 삼국시대의 일로 생각된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시기적 차이를 두고 수저를 병용하기 시작했으나 중국‚ 일본의 경우는 점차 숟가락의 이용이 줄고 젓가락이 주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숟가락과 젓가락을 병용하는 것이 독특한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 젓가락의 형태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한쪽이 점차 가늘어져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윗부분에는 길상문을 장식하거나 소용되는 곳을 표시해 넣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동제 젓가락이다. 앞쪽은 단면이 둥글고 손잡이 부분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각이 져 있다. 젓가락 앞부분은 가늘고 손잡이 부분은 두툼하며‚ 전체적으로 묵직하다. 일체의 문양장식이 되지 않은 단순한 형태의 젓가락으로 표면은 전반적으로 광택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흑갈색으로 변색된 곳이 있다. 손잡이 끝 부분에 ‘봉?댁(한글고어로 표기)’이라고 점각(點刻)하였다. <참고문헌> 온양민속박물관‚《민속도록》‚ 198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