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발

추천0 조회수 8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금속은 색채와 광택‚ 질감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단단하고 재생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있다. 또 열에 대한 내성과 전도성 및 소리의 울림으로 인한 쓰임새와 쉽게 부패하거나 파괴되지 않는 보존성 등을 적절히 응용하여 문화발전을 촉진하였다. 한반도에서 금속공예의 시작은 기원전 10세기경의 청동기시대이며 그 후 중국과 서역 등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받아서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공예품을 만드는 금속재료 중 금‚ 은‚ 구리‚ 철‚ 주석을 오금이라 부르며 이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을 녹여서 합금하여 사용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청동의 경우 구리와 아연의 합금이다. 바루는 불교에서만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 비구 6물 또는 18의 하나로서‚ 발이라고도 하며‚ 발우라고도 쓴다. 이는 범어의 음사인 발다라(鉢太羅)의 약칭이다. 번역하여 응기‚ 응량기라고도 한다. 승려들은 공동생활을 하기 때문에 엄격한 규범에 따라 식사(바루공양)을 했는데‚ 그들은 각자 바루 1벌과 수저‚ 바루받침‚ 수건 등이 있었다. 바루는 밥그릇‚ 물그릇‚ 찬그릇 등 각각 크기가 다른 그릇이 가장 큰 밥그릇 안에 포개져 1벌을 이루며 그 속에 숟가락 등 부속물을 담아 운반이나 보관하기 편하도록 하였다. 바루의 재질은 흙‚ 나무‚ 돌 혹은 금‚ 은‚ 동‚ 쇠와 같은 금속 등인데 부처만 홀로 돌바루를 사용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금속제 바루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목기에 옻칠을 한 나무 바루를 애용했다. 한편 바루를 가지고 밥을 얻어먹으며 수행을 하는 것을 탁발이라 한다. 이 발은 고려시대 청동발로 별다른 손상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얇은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구연부에서 바닥 쪽으로 갈수록 폭은 점점 좁아진다. 구연부 내면에 침선을 1줄 둘렀으며‚ 그 외에 내외면 모두 아무런 장식도 없다. 내외면 모두 일부분이 녹에 의해 부식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