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면와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면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귀면와(鬼面瓦)는 괴수와 같은 귀신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원두방형(圓頭方形)의 기와이다. 귀면와는 원래 수면(?面)을 무섭게 의장화한 것으로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려는 벽사(?邪)의 상징으로 목조 건물의 마루와 사래 끝에 장식한 것이다. 따라서 귀면은 인간을 희롱하고 해치는 잡귀신의 하나인 도깨비와 비교할 때 그 격이 다르며 의장성과 함께 특성도 서로 차이가 나고 있다. 귀면문은 기와의 문양으로도 채택되어 삼국시대부터 귀면문수막새와 내림마루용 귀면와가 제작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귀면문수막새와 귀면문암막새가 꾸준히 제작되는 가운데 건물의 내림마루와 귀마루 끝에 부착하는 귀면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주름살투성이의 얼굴에는 부릅뜬 눈과 들창코‚ 그리고 길게 찢어진 입에는 혀가 나와 있고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쳐 있으며 이마에는 굽은 뿔이 돋아 있는 무서운 형상이다. 귀면와는 용도에 따라 추녀가 네 귀에 있는 팔작지붕의 마루 끝에 부착되는 마루용과 귀마루 끝에 잇대어 댄 방형의 사래용으로 구분되고 있다. 마루용은 그 하단의 중심부가 반원형의 홈으로 절단되어 기와의 등위에 얹히게 되어 있고‚ 사래용은 그 하단이 편평하게 잘려 있다. 귀면와는 부착을 위해 귀면의 미간 사이에 못을 박아 고정할 수 있는 못 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뒷면에 C자형의 고리가 달려 있어서 철삿줄로 동여맬 수 있는 것 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바탕흙이 회백색을 띠는 연질 소성으로 비교적 잘 정선되었으나 모래 알갱이가 다소 섞여있다. 하단부가 편평하게 잘려 있어 사래용 귀면와임을 알 수 있으며‚ 상단부 절반가량이 결실되었다. 사래기와란 추녀 끝에 잇대어 댄 네모난 사래 끝에 사용하는 기와이다. 사래는 다른 서까래보다 비교적 큰 편이며 원두방형의 큰 규모로 기와가 제작된다. 사래기와는 삼국시대 후기에 출현하여 고려시대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는데 삼국시대에는 연꽃무늬가 주문양으로 새겨졌으나 통일신라 직후부터는 귀면문으로 대체되어 크게 유행하게 된다. 고려 후기부터는 원두방형의 사래기와가 제작되지 않고 사래에 암키와 1매를 세워 못으로 박거나 괴수 모양의 토수를 별도로 만들어 사래 끝에 끼워 그 부식을 방지한다. 부릅뜬 커다란 눈에‚ 크게 뚫린 콧구멍이 표현되었으며‚ 입은 크게 벌리고 있고‚ 위아래로 송곳니를 드러내 그 위용을 나타내고 있다. 여백에는 도안화된 당초문이 장식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두 개의 테두리 선으로 구획된 주연부에는 축소된 귀목문이 채워져 있다. 기와 측면은 잘 다듬어져 있으나 뒷면은 면이 고르지 않고‚ 몹시 울퉁불퉁하며‚ 손으로 다듬은 흔적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