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용두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용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용두는 내림마루나 귀마루 위에 얹히는 조형물로 용의 머리를 무섭게 형상화한 장식 기와이다. 마루 장식용은 마루 끝에 삽입되거나 그 위에 얹혀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치미‚ 취두‚ 용두‚ 귀면기와‚ 망새‚ 잡상 등으로 다양하게 나누어지며‚ 각 마루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다. 이러한 마루 기와들은 각 마루의 곡선과 반전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장식적인 성격이며‚ 대개 내림마루 위의 하단부와 귀마루 위의 상단부에 잡상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용두는 고려 중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매우 성행했는데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의 궁전이나 관아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용두가 취두 대신에 용마루 양쪽 끝에 장식되기도 한다. 용은 기린‚ 봉황‚ 거북과 더불어 사령이라 불려온 대표적인 영적인 동물로 길상의 우두머리로 숭배되었다. 인충 중의 우두머리로 ????본초강목????에 의하면 용의 머리는 낙타‚ 뿔은 사슴‚ 눈은 귀신‚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발바닥은 호랑이를 닮았다고 되어 있다. 9.9 양수인 81개의 비늘이 있고‚ 그 소리는 구리로 만든 쟁반을 울리는 소리와 같고‚ 입 주위에는 긴 수염이 있으며‚ 턱밑에는 명주가 있고‚ 목 아래에는 거꾸로 박힌 비늘이 있으며‚ 머리 위에는 박산이 있다고 한다. 용은 상상의 동물로 무섭게 의장되고 있으며 귀면기와와 같이 악귀를 제어하는 벽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바탕흙이 흑회색을 띠는 경질의 용두로‚ 잘 정선되었으나 가는 모래 알갱이가 다소 섞여 있다. 용의 안면 표현은 간략하게 묘사되었는데‚ 가운데 몰려있는 두 눈은 동그랗게 부릅뜨고 있으며‚ 뾰족하게 위로 치켜 올라간 양 귀 표현과 함께 정수리 부분에 뭉툭하게 솟아난 짧은 뿔이 있다. 입은 다물고 있으며‚ 다물린 입 사이에 몇 개의 이빨을 간략하게 나타냈고 표면은 물손질 처리되어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다. 양쪽 볼 옆에는 길게 휘날리는 지느러미와 같은 것을 표현하였으며‚ 등 쪽은 마디처럼 표현되었다. 전체적인 문양 새김은 간략하면서도 대담한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발하다. 몸통 안쪽은 비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