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봉황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7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봉황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수막새는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등 끝에 사용된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새는 외측에 둥근 주연이 있고 내측에 여러 가지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둥그런 자방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무늬가 장식되지 않는 위주였으나‚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주문이나 꽃무늬가 새겨져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우리나라 수막새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막새의 표면에는 연꽃‚ 보상화‚ 귀면‚ 금수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 다채롭게 변화되고 있는데 연꽃무늬가 주체적인 시문 단위로 채용되고 있다. 봉황은 중국에서 닭의 머리에 제비의 턱‚ 뱀의 목‚ 거북의 등‚ 물고기의 꼬리 등 여러 짐승의 형상을 조합시켜 만들어낸 새로‚ 6척의 키에다 몸과 날개는 오색의 빛이 찬란하고 오음의 소리를 내면서 오동나무에 깃들이고 대의 열매를 먹으며 예천의 물을 마시고 산다는 상념적인 큰 새이다. 봉황문은 이런 봉황을 장식한 문양이다. 우리나라는 봉황문을 삼국시대부터 고분의 금공품과 기와 등에 쓰기 시작했다. 이 수막새는 연질의 봉황문이 새겨 있는 봉황문 수막새이다. 바탕흙은 연회색이며‚ 모래알갱이가 섞여 있다. 가운데에는 봉황문과 구름 문양이 함께 양각으로 표현되었으며‚ 주위로 원이 둘러있다. 막새면의 넓이는 두꺼우며‚ 아무런 장식이 되어 있지 않다. 표면은 물 손질 하였다. 뒷면에는 기와 칼로 긁어 굵기와 크기가 다른 선이 있고‚ 접합 기법이 남아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