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등연화대석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등연화대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석등은 불전을 안치하는 것으로 주로 불전 앞에 세워두는 석조물이다. 불교에서는 등불을 밝히는 것이 공양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일찍부터 등불을 안치하는 공양구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형태는 하대석(下臺石)‚ 중대석(中臺石)‚ 상대석(上臺石)‚ 화사석(火舍石)‚ 옥개석(屋蓋石) 등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옥개 위에는 보주를 얹은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등불을 안치하는 화사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 형태는 대부분 4각‚ 6각‚ 8각형이다. 경전에 의하면 동‚ 철‚ 점토‚ 나무 등으로 다양한 종류의 석등이 있었다고 하나 석재를 사용하여 만든 것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여 가탑리 폐사지와 익산 미륵사지에서 백제시대 석등의 파편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 석등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석조물은 피어난 연꽃을 엎어놓은 듯한 형태를 말하는 복련이다. 작은 연잎과 그 뒤의 큰 연잎이 겹쳐진 중판으로 이런 연잎이 8개이다. 각 연잎의 가운데 부분과 양 끝 부분은 튀어 나오게 조각되어 있다. 상부 중앙에는 원형의 테두리가 둘러진 원형 홈이 있다. 이 홈에 무엇인가를 꽂아 올렸을 것이다. 복련이라는 점과 중앙의 홈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석조물은 석등의 하대석으로 이용되던 것으로 추정되며‚ 원형의 홈에는 석등의 중대석이 끼워졌을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