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조문암막새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문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암막새는 암키와의 한쪽 끝에 약간 위로 휜 장방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골 끝에 사용되고 있다. 암막새는 막새와 암키와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암막새는 외측에 네모난 주연부가 있는데 대부분 주문이 장식되고 있으며 그 내측에 덩굴과 같은 좌우 대칭형의 꽃무늬가 새겨지고 있다. 이 암막새는 통일신라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막새의 표면에는 당초‚ 보상화당초‚ 포도당초‚ 화엽당초‚ 서조‚ 기린‚ 용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지고 있는데 덩굴과 같이 의장된 당초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다. 고려기와는 전반적인 기와사용의 대중성과 장식무늬의 자유분방함을 통해 고려문화의 일면을 엿보게 해준다. 고려 초기에는 통일신라의 전통과 고구려적인 요소를 지닌 막새형을 계승하여 상당히 화려하고 세련된 기와를 생산하였다. 중기 이후부터는 취두나 용두와 같은 새로운 기와가 출현하게 되며 막새의 시문단위도 연꽃무늬나 당초무늬에서 벗어나 귀목무늬의 일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후기에 이르러서는 범자가 막새에 새겨지게 되며 암막새의 드림새가 밑으로 늘어져 커지게 되는 새로운 모습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막새에는 연꽃‚ 보상화‚ 모란‚ 귀면‚ 귀목 등이 장식되어있고‚ 암막새에는 당초‚ 모란당초‚ 연꽃‚ 초화‚ 새‚ 귀목 등이 새겨지고 있는데 연꽃무늬와 귀목무늬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문자와 범자가 새겨진 막새가 약간씩 알려져 있다. 수막새에 장식된 연꽃무늬는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단판‚ 복판‚ 세판‚ 중판 등의 여러 양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단판과 세판 말고는 적은 수에 불과하다. 옛날부터 사람들은 새는 천상의 영혼과 육신의 세계를 왕래하며 연락을 담당한다고 믿고 있었으며‚ 이러한 새를 묘사한 문양은 천계의 상징적 표현으로서 일종의 우주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암막새는 경질의 화조문 암막새이며‚ 바탕흙은 흑회색이며‚ 모래 알갱이가 섞여 있다. 막새면의 절반가량이 결실되었고‚ 암키와가 일부 남아 있다. 막새면에는 한 마리의 새가 날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주위에는 구름 문양이 양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주연부의 윗부분에는 두 줄의 선이 표현되었고‚ 아랫부분에는 구슬문양이 촘촘히 배열되어 있다. 표면은 물 손질 하였으며‚ 와도흔과 접합 기법이 남아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