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곡사 석가모니불도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곡사 석가모니불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화는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압축하여 묘사한 그림으로 불탑이나 불상‚ 불경 등과 함께 불교신앙의 대상이 된다. 불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예배의 대상이 되는 그림으로 존상화‚ 부처님의 전생설화나 생애를 그린 그림‚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한 그림 등이며‚ 사원을 장식하는 단청의 경우도 넓은 의미의 불화에 속한다. 불화는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이지만 크게 사원을 장엄하기 위한 단청과 일반 대중에게 어려운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전달해주고자 그리는 교화용‚ 그리고 의식 때 예배하기 위한 예배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불화는 동국대학교 박물관 유물번호 812와 한 점을 이루는 삼신불도 중 화신불 석가모니불도이다. 이 석가모니불도의 주인공인 석가모니불은 현세의 구원불로 대표적인 대승경전의 하나인 『법화경(法華經)』의 교주이다. 동시에 역시 대승경전인 『화엄경(華嚴經)』의 교주(敎主) 비로자나불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한국불교에서는 삼신불(三神佛)이라 하여‚ 비로자나불(법신불)(毘盧遮那佛(法身佛)) ? 노사나불(보신불)(盧舍那佛(報身佛))? 석가모니불(화신불)(釋迦牟尼佛(化身佛))을 동시에 한 전각에 모시는 신앙이 조선후기에 나타나 이후 대단히 유행하였다. 이는 조선불교의 한 특징으로 억불체제 아래에서 교종과 선종‚ 기타 여러 종파의 구분이 없어지고 통합되는 양상을 띠었는데‚ 이로 인해 야기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선불교의 성격을 가리켜 통불교(通佛敎)라고 하기도 한다. 한편 이 삼신불을 그림으로 그려 모신 불화가 바로 삼신불도이다. 대개 하나의 화면‚ 또는 3폭 한 점의 형식으로 그려진다. 이 불화의 경우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 그리고 석가모니불이 각각 세 폭으로 나뉘어 그려졌으며‚ 그 중 석가모니불도이다. 이 석가불도 역시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바탕 천의 뒤틀림과 더불어 형태가 이지러져 있고‚ 광배를 비롯하여 부분부분 박락 상태가 심하다. 주존 석가모니불과 더불어 왼쪽 문수보살과 오른쪽 보현보살 등 협시보살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좌우와 위쪽으로 수많은 권속들이 그려져 있다. 즉 12보살‚ 사천왕‚ 제자‚ 신중‚ 팔부중‚ 동자‚ 판관‚ 용왕?용녀 등 석가모니불을 위호하고 불법을 수호하는 여러 존상들이 묘사되어있는 것이다. 이 존상들은 위로 가면서 크기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불교의 위계에 따른 크기의 차등을 둔 것으로 18세기 한국불화의 화면구성 특징 중 하나이다. 이 불화의 주존으로 중앙에 그려 모셔졌을 비로자나불도의 소재를 알 수 없는 점이 애석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