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통일신라 범종편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통일신라 범종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범종은 사찰의 종루에 걸어놓고 쳐서 때를 알리거나 대중을 불러 모을 때 사용하는 큰 종으로 불교공예품을 대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범종은 중국이나 일본의 종의 형태와는 다른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범종을 대표하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범종으로 상원사 종과 성덕대왕 신종이 가장 대표적이다.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형태는 가장 상단에 매달기에 편리하도록 용뉴(龍?)와 음향의 효과를 위한 음통(音筒)이 있고‚ 종신은 상대‚ 중대‚ 하대로 구분되고 이 사이에 유곽과 당좌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당좌 사이에는 비천이나 불보살을 배치하는데 이것은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범종 상단의 용뉴는 대개 한 마리의 용이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중국 종의 경우 좌우대칭을 두 마리가 표현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또한 음통은 죽절형으로 표현되고 거기에 문양이 나타난다. 종신은 위로부터 상대(上帶)에는 연화문이나 당초문을 시문하고 있고‚ 상대 바로 아래에는 유곽(乳廓)을 설정하고 거기에는 9개의 유두(乳頭)를 표현한다. 종신의 중앙에는 비천과 당좌를 교대로 배치하는데‚ 이럴 경우 비천상은 대개 주악비천으로 표현된다. 당좌는 연화문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대의 경우는 상대와 마찬가지로 식물문양을 표현하는데‚ 여기에는 비천이나 불보살상이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이 범종 파편은 범종 하대의 일부분으로 사각형으로 구획을 하고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樂像)을 표현하고 있다. 구획은 2줄의 선으로 틀을 만들고 줄 사이에는 연화문을 배치하여 장식성을 높였다. 주악상은 옷을 날리며 비파를 연주하고 있다. 이 범종 편은 강원도 원주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 범종이 지역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